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지난 21일 제56기 정기주주총회장에 입장하고 있다./사진: 포스코홀딩스 제공 |
[대한경제=강주현 기자] 향후 3년간 포스코그룹을 이끌 장인화 회장이 해결해야 될 과제 중 하나는 친환경 전환이다. 포스코는 지난 2020년 아시아 철강사 최초로 ‘2050 탄소중립’을 선언했지만, 철강업의 한계로 국내기업 중 가장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 중이다. 저탄소 생산 전환을 위해 전기로를 생산하고, 수소환원제철 공법 도입을 추진 중이나 마주한 상황은 녹록치 않다. 지난 12일에는 서울 강남구 포스코 사옥 앞에서 환경단체들이 장 회장의 기후 리더십을 촉구하는 피켓 시위와 퍼포먼스를 하기도 했다.
27일 포스코그룹과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 따르면 포스코는 2022년 국내기업 중 가장 많은 7019만t의 온실가스를 배출했다. 국내 산업계가 배출한 온실가스 총량의 12%에 해당한다. 전년(7848만t) 대비 배출량이 줄었지만, 이는 탄소저감 노력보다 조강 생산량이 2021년 4296만t에서 3793만t으로 줄어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배출량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전년과 비슷할 것으로 추정된다. 무상배출 할당량을 초과한 온실가스 배출에 따른 배출충당부채를 연결 기준 91억원으로 책정했기 때문이다. 포스코(포스코홀딩스)는 2019년 510억원의 배출부채를 설정한 후 매년 수십∼수백억원대 배출부채를 쌓아왔다.
국내 탄소배출 1위 타이틀과 함께 포스코는 크고 작은 환경문제를 일으키기도 했다. 포스코는 최근 3년여간 60건 이상의 행정ㆍ공공기관의 제재를 받았는데, 절반이 넘는 33건이 대기환경보전법 위반혐의 등 환경관련 사유였다.
기후변화청년모임 빅웨이브와 포스코 불개미연대가 지난 12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 앞에서 포스코의 탈탄소 경영을 촉구하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빅웨이브 제공 |
포스코가 마냥 손 놓고 있었던 건 아니다.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한 후 관련인력과 조직을 강화했고, 지난 2022년 전략 기획과 조정을 위해 대표이사 부회장 직속 탄소중립 전담 조직을 신설하기도 했다. 올 초엔 이를 ‘탄소중립전략실’로 확대 개편했다.
이런 노력에도 탄소감축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철강업의 생산방식 때문이다. 순수한 철강을 얻기 위해선 철광석과 석탄을 함께 녹여 산소를 떼어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다량의 탄소가 나온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고자 포스코는 약 6000억원을 투자해 광양에 연산 250만t 규모의 전기로 공장을 착공했다. 전기로에서 250만t의 쇳물을 생산하면 기존 대비 연 350만t에 달하는 탄소감축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공장은 2026년 본격 가동에 돌입한다.
포스코형 수소환원제철공법인 ‘하이렉스(HyREX)’ 기술 상용화도 추진 중이다. 수소환원제철은 석탄 대신 수소를 활용해 철광석에서 산소를 떼어내 철강을 생산하는 기술이다. 이론상 탄소배출량을 ‘0’으로 만들 수 있다. 앞서 수소환원제철 개발센터를 개소한 포스코는 2027년까지 연산 30만t 규모 하이렉스 시험설비를 구축하고 상용화 검증에 나선다.
관건은 상용화 시점이다. 업계는 기술력을 확보해도 ‘수소사회’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수소환원제철 상용화가 어려울 것으로 본다. 수소사회 전환으로 수소 생산비용이 낮아져야 수소환원제철의 고비용 구조를 해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소환원제철 상용화까지는 아직 시간이 필요하고, 이 기간 포스코는 탄소배출 문제를 계속 가져가야 한다는 얘기다.
업계 관계자는 “수소환원제철 기술은 포스코 자체적인 노력 뿐 아니라 국가와 사회의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수소사회로의 전환은 청동기시대서 철기시대로 넘어가는 것만큼이나 큰 변화를 요구하기 때문에 수소환원제철 도입까지는 시간이 꽤 필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장인화 신임 회장은 녹록치 않은 상황에도 탄소감축 등 환경문제에 적극 대응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최근 취임사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 관련 사회적 요구를 엄격하게 준수하고, 인공지능(AI) 기술 등을 활용해 지역사회가 체감할 수 있는 환경관리체계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신임회장으로 선임된 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도 “그린 트랜스포메이션(친환경 전환)은 우리의 가장 큰 숙제”라며 “여러 관계기관과 최대한 협력하며 같이 풀어나가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강주현 기자 kangju07@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