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특별기고> ‘tsmc의 교훈’ 한국 반도체 설비는 안전한가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4-04-04 17:47:00   폰트크기 변경      
정광량 ㈜CNP동양 대표


정광량 ㈜CNP동양 대표
4월 3일 오전 7시30분경, 대만에서 발생한 규모 7.4의 강진이 발생했다. 1999년에 7.6 지진이 발생한 이후 대만에서 발생한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이다. 타이베이에서도 강한 진동이 느껴졌다고 하는데, 이번 지진으로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의 핵심인 TSMC의 공장 역시 일부 제조를 중단하고 직원들을 긴급 대피시켰다고 한다. 이렇게 국내외 뉴스의 관심은 인명피해보다 대만 TSMC 반도체 생산시설에 집중됐다. 한 국가의 산업이 전 세계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진 상황에서, 지진으로 인한 인명피해는 해당 국가의 재난으로 그치지만, 주요 산업의 피해는 전 세계 생산품 가치사슬(Value Chain)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산업의 쌀’로 불리는 반도체 산업의 생산 차질은 전 세계가 긴장하는 상황이 되었다. 몇 년 전 세계 반도체 공업회(Semiconductor Engineering.co.)에서도 전 세계 반도체 생산시설이 강진지역, 특히 일본, 대만, 미국의 서부와 한국(중진지역)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을 우려한 바 있다.

최근 모든 산업시설의 공정은 로봇화되어 있어 정밀도를 요구하고 있다. 곧 정밀한 생산수율(투입수에 대한 완성된 양품(良品)의 비율) 즉, 불량률의 최소화가 중요해졌다. 그러나, 자연재난 중 지진의 경우는 건물 자체를 흔들어 버리기 때문에 지진발생 후 생산시설의 정밀도가 떨어질 수가 있다. 지진은 본진이후 계속적으로 여진이 발생되어 정상적인 생산 여부를 결정하기도 힘들어 진다.

따라서 이러한 정밀생산시설의 경우는 건물의 구조체와 생산설비의 변형에 대해 정밀계측을 통한 시간별 3차원데이터가 필요하다. 이러한 데이터 관리를 통해 공장생산의 지속가능성이 필요하다. 이제는 우리도 최근에 짓고 있는 최첨단 공장시설의 경우는 건축법상 요구하는 기준 기반 설계(Code-based Design)에 따른 건축설계 보다는 건축법 이상의 요구사항으로 회복탄력성 기반 설계(Resilience-based Design) 개념을 도입하여야 한다. 건물 구조체와 생산설비가 함께 고려된 설계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개념은 공장의 생산설비와 직접 관련이 있는 전기, 기계, 소방과 같은 빌딩엔지니어링(Building Engineering)팀과도 함께 고려되어야 진정한 재난 후 영업지속성(Business Continuity Plan)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기존의 산업시설은 회복탄력성 확보를 위한 내진 보강이 필요할 것이다. 한국은 1988년부터 내진설계를 의무화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설계 단계의 요구사항이 현장에서 제대로 이행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지진에 대한 취약성이 드러나고 있다. 이는 내진 전문가의 현장 참여 부재와 내진설계 디테일의 무시에서 비롯된 문제로, 설계 및 시공 단계에서의 철저한 감리 없이는 내진설계의 의미가 퇴색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될 경우, 재난 발생 시 막대한 시설물 파손에 의한 경제적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기술이 고도화되고 발전함에 따라 그것을 생산해내는 산업시설의 내진설계 및 보강, 회복탄력성의 확보는 선택이 아닌 필수임을 실감한다. 우리는 국내 산업시설의 지진 대비 체계를 재점검하고, 법제도 정비와 함께 내진설계 및 시공의 실질적인 강화를 추진해야 한다. 나아가 단순한 피해 복구를 넘어, 재난 발생 시 신속한 기능복구와 회복탄력성 확보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 전문가 집단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기업은 자발적으로 내진보강에 투자하고, 회복탄력성이 가능한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전문가 집단은 최신 기술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설계와 시공 과정에 적극 참여하고,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내진 기술을 고도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강진은 언제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다. 이번 대만 지진을 통해 우리는 산업시설의 회복탄력성 확보가 선택이 아닌 필수임을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되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는 지진 재난에 대비하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해서는 안 될 것이다. 산업시설의 내진보강과 회복탄력성(Resilience capacity)제고야말로 지속가능한 경제 발전을 위한 첫걸음이 될 것이다.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