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국내 박사인력, 고용률은 높으나 학위에 걸맞은 일자리는 부족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4-05-03 12:20:02   폰트크기 변경      
과기정책연, ‘2021년 박사인력활동조사’ 결과보고서 발간

[대한경제=이근우 기자] 국내 박사인력의 고용률은 높지만 학위에 걸맞는 일자리가 부족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이 3일 ‘2021년 박사인력활동조사’ 결과보고서를 발간하고, 국내 전체 박사인력의 교육과 일자리 현황에 대한 신규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박사인력 고용의 질적 구성. /표:과기정책연 제공

과기정책연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박사의 구성은 이공계 56.4%였고, 해외 학위취득 비중은 16.0%였다

국내 이공계 학업전념 박사들은 학위 비용을 ‘연구과제 인건비’에 주로 의존하지만, 해외는 ‘조교 장학금’ 의존 비중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국내에서 학위를 취득한 박사들의 1순위 재정원천은 ‘연구 프로젝트 참여 인건비(31.1%)’였고, 국외 취득 박사들은 ‘조교 장학금(35.4%)’이었다.

이공계 박사는 ‘연구 프로젝트 참여 인건비(33.0%)’를 1순위 재정원천으로 꼽은 반면, 비이공계에서는 ‘대출, 개인저축, 가족 지원 등 개인조달’이 37.9%로 가장 높았다.

전체 박사인력의 37.6%가 박사후과정을 경험했다는 결과가 나왔다. 박사후과정(포닥)은 일반적으로 신진 박사인력 경력경로인데, 이공계가 48.3%로 비이공계의 19.3%에 비해 높았다.

우리나라 박사인력의 박사후과정 수행 지역은 국내 62.2%, 해외 37.8%였으며, 해외 비중 역시 이공계(41.2%)가 비이공계(23.1%)에 비해 높았다.

박사인력의 고용률은 84.5%로 높으나, 이 중 박사학위에 맞는 일자리 취업 비중은 45.4%로 절반밖에 되지 않았고, 연구직 취업 비중도 39.5%로 박사급 일자리 부족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박사인력의 직장은 대학(38.2%), 공공연구소(7.7%), 민간연구소(5.9%) 고용이 절반 수준에 머무르며 나머지는 연구소가 아닌 민간(30.0%) 및 공공ㆍ기타(18.2%)가 차지했다.

박사인력들이 비연구직에 종사하는 이유는 ‘교수 또는 연구원 구직이 힘들어서’라는 응답이 두드러졌다.

조가원 과학기술인재정책연구센터 선임연구위원은 “세계적으로 우수 핵심인재를 육성ㆍ확보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며 “국내 전체 박사인력의 구성, 경력, 국제이동 및 인식 등을 파악할 수 있는 본 조사는 핵심인재 육성책 마련을 위한 중요한 인프라”라고 했다.

더불어 “경력, 일자리 등과 같이 주요 정책현안을 고려해 지속적인 조사와 분석이 이뤄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근우 기자 gw89@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경제부
이근우 기자
gw89@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