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경제=김승수 기자] 한국과 아프리카의 정상회의 이후 아프리카의 투자개발형(PPP) 사업이 주목받고 있다.
인구와 인프라 수요는 늘어나고 있지만, 아프리카 각국 정부의 재정난이 겹치면서 수요를 따라가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에 자연스럽게 민간과 정부가 함께 투자해 수익을 얻는 구조를 가진 투자개발형 사업(PPP)이 떠오르고 있다.
23일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에 따르면, 아프리카는 인구 증가와 인프라 수요 증가에 따라 경제 변혁을 위해 인프라 개발을 가속화하고 확장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세계은행(WB)은 아프리카의 열악한 인프라로 인해 매년 경제 성장이 2% 제약되고, 생산성 역시 최대 40%까지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처럼 부족한 인프라로 인해 아프리카 성장이 저해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 30년 동안 28개 아프리카 국가의 인구가 2배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향후 30년 동안에도 26개국가의 인구가 2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프리카 인구가 증가하는 만큼 전력 수요 역시 급증하는데, 2035년까지 93%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KIND는 아프리카의 경제 성장이 유지가 가능하려면, 도로의 47%가 포장이 필요하고 항만의 평균 컨테이너 처리 성능은 시간당 20회에서 25회~30회로 늘어나야 한다고 내다봤다. 또 인터넷에 3억명이 접속할 수 있어야 한다고 예측하고 있다.
결국 아프리카 경제가 별탈 없이 꾸준히 성장세를 보이려면 인프라가 뒷받침 돼야 한다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아프리카에는 중국이 주요 인프라 투자자였지만, 현재 높은 부채비율과 재정적 제약으로 민간투자를 통한 개발 필요성이 떠오르고 있다.
지난해 진행된 아프리카 경제 회의에서도 아프리카의 인프라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PPP의 중요성이 강조된 바 있다.
아프리카에서는 현재 다양한 PPP 사업이 펼쳐지고 있다. 2008년부터 2018년까지 성공적인 PPP 활동의 50% 이상이 남아공, 모로코, 나이지리아, 이집트, 가나 등이 차지하고 있고, 다수의 국가들도 PPP 사업 발주가 실시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아프리카가 PPP를 주요한 발주 형태로 생각하는 만큼 효과적인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해외건설업계 관계자는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효과적인 PPP를 구축해야 한다”면서 “정부는 아프리카 국가에 대한 리스크 완화에 초점을 맞춰 프로젝트 실행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승수 기자 soo@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