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서 발견된 대남 쓰레기 풍선 내용물. 사진: 연합 |
북한이 21일 또 남쪽을 향해 오물 풍선을 살포하자, 군이 대응 수위를 높여 모든 전선에서 대북 확성기 방송 전면 시행에 나섰다. 남북 접경 지역의 군사적 긴장 수위가 고조되고 있다.
합동참모본부는 21일 “우리 군은 수차례 경고한 바와 같이 오늘 오후 1시부로 대북 확성기 방송을 전 전선에서 전면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군은 북한 오물 풍선에 대응해 지난 18일부터 전방의 서부ㆍ중부ㆍ동부전선에 배치된 고정식 확성기를 릴레이식으로 가동하며 제한적으로 대북 방송을 했다.
그런데도 북한이 이날 오전 또다시 남쪽을 향해 오물 풍선을 살포하자 부분적으로 실시하던 대북 확성기 방송을 확대하며 대응 수위를 끌어올린 것이다.
군은 이날 1시부터 전방 지역의 모든 고정식 확성기를 동시에 전면 가동하는 방식으로 전환했다.
확성기 방송 시간은 전날과 마찬가지로 오전 6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진행하기로 했다. 방송에는 최근 북한 외교관의 탈북 소식을 비롯해 비무장지대(DMZ) 북측 지역에서 지뢰매설 등 작업을 하는 북한군을 향해 “지옥과 같은 노예의 삶에서 탈출하라”는 메시지 등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합참은 “집중호우로 인해 우리 국민뿐 아니라 북한 주민들에게도 심대한 피해가 있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북한군은 저급하고 치졸한 행위를 반복하고 있다”며 “북한군이 자행하는 전선 지역에서의 긴장 고조 행위는 오히려 북한군에게 치명적 대가로 돌아갈 수 있으며, 사태의 모든 책임은 전적으로 북한 정권에 있음을 엄중히 경고한다”고 했다.
우리 군이 고정식 확성기 전체를 동시에 가동하는 것은 2018년 9 19 군사합의 이후 약 6년 만에 처음이다.
당시 대북 확성기는 2018년 4월 남북 정상이 합의한 판문점 선언에 따라 5월부터 철거에 들어갔다. 최전방 지역 24곳에 고정식으로 설치돼 있었고 이동식 장비도 16대 있었다.
그러나 북한의 도발이 지속되자 정부는 지난달 4일 9·19 군사합의 효력을 정지하고 대북 확성기를 다시 설치했으며, 이어 같은 달 9일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에 대응하고자 고정식 확성기 일부를 가동했다.
군은 이후 북한의 태도 변화를 촉구하며 대북 확성기 사용을 자제했으나,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가 끊이지 않자 이달 18일 방송을 재개한 데 이어 나흘째인 이날 모든 고정식 확성기를 동시 가동하기에 이르렀다.
대북 확성기 방송은 장비와 시간대에 따라 10∼30㎞ 떨어진 곳에서도 들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북한의 오물 풍선 살포는 오후까지 이어졌다. 합참은 오후 5시 기준 대남 오물 풍선이 360여개 살포됐으며, 이중 110여개가 경기 북부와 서울 등 우리 지역에 낙하한 것으로 파악했다.
합참은 풍선 속 내용물은 대부분 종이류로 안전 위해 물질은 없었다고 전했다.
우리 군의 확성기 확대 가동에 대응한 북한군 특이동향은 아직 포착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대북 확성기 방송은 북한이 가장 꺼리는 대북 심리전 수단인 만큼 북한이 이에 반발해 수위 높은 도발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2015년 북한의 목함 지뢰 도발에 대응해 박근혜 정부가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했는데, 북한이 서부전선에서 포격 도발을 감행해 대응한 바 있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지난 14일과 16일 성명을 내어 탈북민단체의 대북전단(삐라) 살포를 비난하고 “한국 쓰레기들의 치졸하고 더러운 짓이 계속될 경우 우리의 대응 방식의 변화가 불가피하게 제기될 것”이라며 새로운 방식의 도발을 시사하기도 했다.
군은 북한이 계속 대남 오물 풍선을 살포하거나 다른 도발을 감행하면 대북 확성기 가동을 멈추지 않고 점차 확대할 방침이다.
북한이 오물 풍선 살포 등 도발을 중단하지 않는 한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남북 간 군사적 긴장 수위는 계속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합참은 “군은 굳건한 한미연합방위태세 하에 북한군의 활동을 면밀히 감시하고 있으며,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능력과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합 기자 yna@dnews.co.kr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