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PF 경색 여파, 발전시장에도 영향
작년 8월 선정 3개 프로젝트, 1년 넘게 협의 중
‘세계 최초’ 입찰 시장 개설했지만
‘20년 장기계약’ 리스크에 금융권 고심
‘재공고 입찰’ 3차 입찰, 수익성 하락하면 PF 구성 고전할 듯
전남 나주에 위치한 한국전력거래소 본사 전경./사진:전력거래소 |
[대한경제=신보훈 기자] 지난해 상반기 일반수소발전 입찰시장(1차 일반수소 입찰)에서 낙찰된 프로젝트 상당수가 1년 넘게 PF(프로젝트 파이낸싱) 구성을 완료하지 못하면서 발전소 착공이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일반수소발전 시장은 정부가 ‘세계 최초’를 내세우며 수소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추진한 사업이지만, 20년 장기계약이라는 리스크와 국내 부동산 PF 경색에 따른 유동성 악화 영향이 겹치면서 자금 조달에 난항을 겪는 모양새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작년 8월 1차 일반수소 입찰에서 이지스 컨소시엄, SK에코플랜트 화성양감, 롯데케미칼 컨소시엄, 가나이엔지 컨소시엄, SK에너지 컨소시엄의 5개 발전소가 선정됐지만, 현재 PF 구성을 완료하고 착공에 들어간 사업장은 SK에코플랜트 화성양감, 롯데케미칼 컨소시엄 2곳뿐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지스‧SK에너지‧가나이엔지 컨소시엄은 현재 PF를 진행 중으로, 올 상반기 구성을 목표로 했던 사업장도 연말까지로 계획을 수정한 상태다.
한 발전사 관계자는 “정부가 세계 최초 타이틀을 강조하며 야심 차게 수소 입찰시장을 열었지만, 금융기관들과 PF 조건의 조율이 쉽지 않은 상황으로 알고 있다”라며, “기본적으로 부동산 PF 부실 위험이 부각 돼 사업에 조심하는 분위기가 있고, 20년 장기계약의 리스크도 장애물이다. 특히, 20년간 성능이 보장돼야 하는 수소발전 주기기에 대한 리스크를 어떻게 분담할 것인지가 쟁점사항”이라고 설명했다.
일반수소 발전에는 보통 인산형 연소전지(PAFC)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가 사용되는데, 이 주기기를 납품한 업체가 계약기간동안 사업을 영위하며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느냐가 PF 구성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PF 구성을 완료한 두 사업장의 경우 외국 보험사에 주기기 장기 운영 및 유지보수 관련 보험을 들거나 주사업자가 보증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리스크를 분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반수소 입찰에선 전력구매계약 체결 이후 24개월 내에 상업운전을 해야 한다. 이 기간이 30개월을 초과하면 준공 지연에 따른 페널티가 부과된다. 발전소 건설에 통상 1년이 걸리는 점을 감안하면, 올해 말까지는 착공해야 페널티를 피할 수 있다.
다른 발전사 관계자는 “20년 장기 프로젝트인데, 수익률이 5~6% 수준으로 아주 높은 수준도 아니기 때문에 금융기관도 보수적으로 바라보는 측면이 있다”며, “PF 구성이 더 지연돼 상업운전이 늦어지고 패널티까지 부여 받으면 수익성은 더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언급했다.
더 큰 문제는 2차(2023년 하반기), 3차 입찰(2024년) 프로젝트다. 2차 입찰에선 5개 사(SK에너지, 일진파워, 동서발전, 대우건설•삼천리 컨소, 삼표•현대 컨소), 19개 프로젝트가 선정됐는데, 다수 프로젝트가 선정되다 보니 1차 대비 수익성이 떨어지는 사업도 포함돼 있다는 평가다. 동서발전에서 제안한 경남 밀양 프로젝트의 경우 발전사업허가 이슈로 낙찰 용량 선정이 취소되는 사례도 나왔다.
여기에 최근 재공고 입찰이 결정된 3차 입찰은 다수 사업자가 입찰가격을 제출한 이후 재입찰이 결정됐기 때문에 5∼6%로 기대한 발전사업 수익률이 더 떨어질 가능성도 존재한다.
또 다른 발전사 관계자는 “3차가 재공고 입찰로 진행되면서 저가 입찰사가 들어올 가능성이 크다. 5∼6% 수익률도 PF를 구성하기 쉽지 않은데, 여기서 수익성을 더 낮춰 잡으면 실제 사업을 진행조차 하지 못할 수도 있다”면서, “세계 최초 수소발전 입찰시장이라는 의미가 퇴색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신보훈 기자 bba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