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위기의 가덕도] PM 기능 무시한 가덕도, “지역 사업 한계 노출”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4-09-12 05:00:36   폰트크기 변경      

국책사업이 지역개발 전락 우려
PM 부재로 리스크 관리도 어려워


2021년 부산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부산 상공인과 시민단체 대표 등이 가덕도 신공항 건설 특별법안이 국회를 통과하는 장면을 보고 환호하고 있다. 

[대한경제=최지희 기자]  총사업비 13조4900억원 규모 ‘가덕도 신공항 건설사업’과 같은 메가 프로젝트에서 PM(Project Management)이 필요한 이유는 태생적인 리스크 때문이다. 1%의 물가상승률이나 공기 1년의 지연 만으로도 수천억원의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리스크를 정교하게 관리할 전담 주체가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메가 프로젝트를 추진할 때 정부 부처 산하의 공단 및 청을 통해 일시적인 프로젝트 관리 조직을 만드는데 이 조직의 PM 역량 편차가 상당히 크다.

프로젝트는 공공성을 가질수록 경상업무가 많아지는데, 공공기관에서 프로젝트 조직으로 한시적 파견을 나간 공무원들은 사업관리보다 경상업무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어 사업을 의도적이지 않게 지연시킨다.

심지어 조직 역량이 부족하면 인ㆍ허가도 쉽지 않다. 예로 공항은 국제공항건설, 국제민간항공기구의 승인이 필수이기 때문에 이에 맞춘 정교한 관리체계 구축에 소홀하면 공항이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인천국제공항사업에 참여했던 대형 엔지니어링사 임원은 “지금 가덕도 공항사업이 진행되는 과정을 보고 있으면, 나중에 공항을 지어 놓고도 국제공항기구의 승인이 떨어지지 않아 당분간 국내선 중심으로 운용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라며, “2029년 말 국제공항으로 개항하려면 지금부터 취항할 외국 항공사를 섭외해 노선 경제성 검토를 시작해야 하는데 이런 부분에 대한 준비가 전혀 없어 의아할 정도”라고 지적했다. ‘동남권 관문’이란 캐치프레이즈가 무색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전문 PM의 역량이 부족하면 전액 국비로 건설되는 대형 국책사업이 지역개발 프로젝트로 전락해 사업 예산 확보에도 어려움을 겪는다. 대표적인 예가 정권마다 사업 방향이 바뀐 새만금 개발사업으로, 전문가들은 가덕도 신공항도 ‘부산 사업’이란 인식에 갇혀 정치 희생양이 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입을 모은다.


한미글로벌 측은 “대형 국책사업이 중심을 잡고 진행되기 위해서는 전문 PM을 통해 종합사업관리체계(PMS)를 수립하고, 체계적으로 공정을 진행해 리스크 요인을 통제해야 한다”라며, “PMS를 통해 수립한 투명한 공정체계를 통해 국회에서는 차수별 예산을 적기 확보하고, 언론과 시민단체의 우려도 불식해야 한다. 특히 공항사업은 단순 토목공사가 아니기 때문에 발주기관의 전문성이 매우 중요하다”라고 설명했다.


최지희 기자 jh606@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프로필 이미지
건설산업부
최지희 기자
jh606@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