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TBM 내경 3800mm 공사 3분기만 세 번째…유찰 가능성↑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4-09-13 06:00:39   폰트크기 변경      

충남지역 전력구공사, 2차 이어 3차도 3800mm 적용

신규 장비 도입비 미반영…건설업계 “유찰 불가피”


그래픽:은설희 기자


[대한경제=신보훈 기자] 올해 전력구 공사가 봇물 터지듯 쏟아지는 가운데 공사에 필수적인 일부 TBM(터널보링머신) 장비 품귀로 인해 착공은커녕 유찰이 거듭되고 있다. 특히, 세그먼트(장비를 감싸는 강철 원통형 쉴드) 내경 3800㎜짜리 TBM은 국내 단 1대뿐인데, 이를 필요로 하는 공사가 올 3분기에만 3건이나 발주되면서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전력구 공사 특성상 설계 내경을 초과하는 TBM 장비를 활용할 수도 있지만, 이마저도 비규격화된 수치로 현장에 투입 가능한 장비가 턱없이 부족해 신규 장비가 도입되지 않는 이상 적기 공사가 어려울 전망이다.

1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국전력은 충남지역 전기공급시설 전력구공사 ‘당진화력∼신송산 2차’, ‘당진화력∼신송산 3차’ 등 2건을 최근 공고했다. 2건 모두 당진 화력발전소를 통하는 송전선로를 보강하고, 서해안지역 계통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추진되는 프로젝트다.

추정가격 968억1095만원의 2차 공사는 충남 당진시 송산면 동곡리부터 가곡리까지 연결하는 프로젝트로, 쉴드 TBM 1대가 투입되며 굴착구간은 590m이다. 오는 23일까지 PQ(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 신청을 받고, 내달 24일 입찰을 마감한다.

추정가격 820억4193만원의 3차 사업은 충남 당진시 석문면 교로리부터 장고향리를 잇는 전력구 공사다. 총 2대의 쉴드 TBM 장비가 투입되며 1구간 2338m, 2구간 936m 규모다. 20일까지 PQ 신청을 받고, 내달 23일 입찰 마감이다.

문제는 2차, 3차 전력구 모두 3800mm 세그먼트 내경이 도입됐다는 점이다. 3800㎜ TBM 장비는 국내에서 TBM 전문업체인 특수건설이 보유한 한 대뿐이다.


통상 한전 전력구 공사에서는 TBM 내경이 설계 내경보다 큰 경우 대안 시공이 가능하지만, 그 반대는 힘들다. 예컨대 내경 3800㎜짜리 사업에 4000㎜가 투입될 수는 있지만, 3600㎜는 불가하다. 현재 여유분으로 동아지질이 보유한 4500mm 장비 등이 있지만, 현장에 투입할 수 있는 장비는 손에 꼽는다. 그나마도 내경이 큰 TBM은 비용이 더 들어간다.

여기에 지난해 말 시공사를 선정해 착공을 앞둔 당진화력-신송산 1차 공사도 3800mm TBM 장비 2대가 투입돼야 한다. 이 사업지는 이미 3800mm 장비와 4000m 장비의 투입이 결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전력구 공사에는 일반적으로 3600㎜ 미만 TMB이 적용됐다. 당진화력∼신송산처럼 비규격 TMB 공사일 경우 실행을 맞추기 굉장히 까다롭다.  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TBM 장비 자체가 많지 않고, 전문업체의 단가 또한 높게 책정돼 공사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앞서 지난 7월 내경 3800mm가 적용된 용인-화성지역 공사도 응찰사 전원 예가 초과 투찰로 유찰된 바 있다. 해당 사업은 지난달 22일 재공고됐지만, 공사비의 조정이 없어 재유찰이 유력한 분위기다.

TBM업계 관계자는 “이미 1차 공사에 3800mm 이상 장비 2대가 투입되기로 한 상황이라 동시에 발주된 비규격 공사는 유찰 가능성이 클 수밖에 없다”라며, “3차의 TBM 굴착길이가 길기 때문에 공사 스케줄에 따라 1차 공사에 투입된 장비를 재활용하고, 남아 있는 4500mm 장비를 투입할 수는 있을 거다. 하지만 굴착구간이 짧은 2차의 경우 TBM 장비 투입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같은 상황은 전력구 공사를 설계하는 각 지역 건설본부도 인지하고 있다. 하지만 한전 내부의 설계기준에 따라 TBM 장비를 적용하고, 신규 장비 도입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에 별다른 방안을 제시하기 힘든 처지다. 이 때문에 한전 송변전건설단 차원에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검토에 들어간 상황이다.

한전 관계자는 “가입 일정 등에 따라 전력구를 준공해야 하는 시기가 있고, 이에 따라 공사 발주가 나가기 때문에 스케줄을 조정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라며, “공사비나 장비 수급, 공사기간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대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신보훈 기자 bba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건설기술부
신보훈 기자
bbang@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