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 핵심 엔지니어들 기자회견, 적대적 M&A의 부당함 호소
“MBK 인수 시 핵심기술 유출, 기술자들 전부 다 그만두겠다”
![]() |
고려아연이 24일 서울 종로구 그랑서울에서 MBK·영풍과의 경영권 분쟁에서 비롯된 공개매수에 반발하며 기자회견을 개최한 가운데, 이제중 고려아연 부회장이 입장을 밝히고 있다./사진: 연합 |
[대한경제=강주현 기자] “저부터 우리 기술자들은 거기 안 갑니다. 다 그만두겠습니다.”
이제중 고려아연 부회장(최고기술책임자ㆍCTO)은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그랑서울 고려아연 본사에서 회사 핵심 엔지니어들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MBK파트너스(이하 MBK)는 고려아연을 경영할 수 없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 부회장은 지난 1985년 고려아연에 입사해 온산제련소장 겸 기술연구소장을 거친 엔지니어(기술자) 출신으로 사장, 부회장에 오르기까지 약 40년간 고려아연과 영풍의 동업 관계를 현장에서 지켜본 ‘산증인’이다.
이 부회장은 지난 75년간 동업 관계를 유지해오다 최근 경영권 분쟁이 격화한 고려아연과 ㈜영풍의 갈등이 4∼5년 전 영풍이 자사 유해폐기물 처리를 고려아연에 떠넘기려 하면서 시작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당시 낙동강 상류에 위치한 영풍 석포제련소에서 카드뮴 등 배출 사건이 문제가 되자 영풍이 고려아연에 해결을 요구했고, 이를 고려아연이 거부하면서 갈등이 시작됐다고 떠올렸다.
이 부회장은 “장형진 영풍 고문은 이 문제 해결을 고려아연 온산제련소를 통해 하고 싶어 했지만, 우리는 남의 공장 폐기물을 받아서 처리하는 것은 배임이고 범죄행위여서 할 수 없었다”며 “이걸 막은 게 바로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이었고, 그 뒤로 장 고문과의 관계가 틀어지기 시작했다”고 기억했다.
실제로 영풍 석포제련소는 지난 2014년부터 환경단체 등으로부터 중금속으로 인한 토양ㆍ수질 오염 의혹을 받아 왔다.
이에 환경부가 조사에 나서 낙동강으로 카드뮴이 유출된 정황을 확인, 지난 2021년 영풍에 과징금 281억원을 부과했다. 이후 검찰은 환경 범죄 혐의로 영풍 대표이사와 석포제련소장 등 임직원 8명을 기소해 이들은 현재 1심 재판을 앞두고 있다.
이 부회장은 고려아연과 영풍의 대비된 실적이 기업문화에서 기인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고려아연의 10년간 평균 영업이익률 12.8%이고, 영풍은 마이너스(-) 1%”라며 “직원을 가족처럼 대하는 최 회장과 머슴처럼 대하는 장 고문의 사람관리 차이에서 나온 것”이라고 했다. 특히 최 회장에 대해 “기술과 전문 경영 (능력을) 다 같이 갖춘 분”이라고 평가했다.
![]() |
고려아연이 24일 서울 종로구 그랑서울에서 MBK·영풍과의 경영권 분쟁에서 비롯된 공개매수에 반발하며 기자회견을 개최한 가운데, 이제중 고려아연 부회장을 비롯한 임직원들이 공개매수에 반대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사진: 연합 |
아울러 이 부회장은 “영풍 석포제련소의 경영 실패로 환경오염과 중대 재해를 일으켜 국민에게 빚을 졌으면서도 이제 와 기업사냥꾼과 손잡고 고려아연을 노리고 있다”며 “우리나라를 팔아먹고자 하는 행위 그 자체”라고 비난했다.
MBK의 경영권 인수 시도에 대해서도 “그들은 우리의 기술, 우리의 미래, 우리나라의 미래는 안중에도 없다”며 “오직 돈, 돈, 돈뿐이다. 우리는 절대로 이런 약탈적 행위를 용납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고려아연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반도체 원료의 절반을 공급하는데, 반도체도 셧다운될 수 있다”며 “고려아연이 무너지면 자동차, 반도체, 철강 등의 소재 원가도 올라 국가산업 경쟁력 전체에 문제가 생길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만약 MBK파트너스가 고려아연을 차지하게 된다면 우리의 핵심 기술이 해외로 유출되고 대한민국의 산업 경쟁력은 무너질 것”이라며 “고려아연의 모든 임직원은 이번 적대적 M&A를 결사코 막아내고, 저를 비롯한 고려아연의 모든 임직원들은 현 경영진과 함께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주현 기자 kangju07@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