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당 지도부·대통령실 만찬 ‘빈손 회동’ 지적 나와
여야의정 협의체 출범 난항...‘김 여사 논란’도 뇌관
![]() |
윤석열 대통령이 2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 분수정원에서 열린 국민의힘 지도부 초청 만찬 뒤 한동훈 대표, 추경호 원내대표 등 국민의힘 지도부, 대통령실 참모진과 함께 산책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대한경제=조성아 기자] 지난 24일 진행된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 지도부와의 만찬에서 결국 ‘윤·한 독대’가 불발되면서 당내에서도 우려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날 회동에서 주요 현안에 대한 해결방안에 대해선 별다른 논의조차 이뤄지지 못한 것으로 전해지며 ‘빈손 만찬’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25일 전날 만찬에 대해 “성과가 전혀 없는 것 같다”며 윤 대통령과의 독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여권은 의대 증원 문제 뿐 아니라 김건희 여사 공천 개입 의혹 등 대통령과 당 지지율을 떨어뜨리는 현안들이 쌓여있음에도 ‘당정 갈등’이 해소되지 못한 채 시간만 흐르고 있다. 당 안팎에서도 소득 없이 끝난 만찬에 대해 비판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은 25일 SNS에서 “대통령과 당지도부가 만나 ‘우리 한대표가 좋아하는 소고기, 돼지고기’만 먹고 헤어졌다”며 “의료사태의 ‘의’자도 나오지 않았고, 연금개혁의 ‘연’ 자도 나오지 않았다. 자영업자의 비참한 몰락, 미친 집값과 가계부채 같은 민생의 문제도 없었다”고 꼬집었다.
이어 “대화와 합의의 정치를 마비시키는 김건희특검법, 채상병특검법도, 대통령과 당에 대한 민심이반도 거론되지 않았다”며 “최소한 의료대란을 해결할 당정의 일치된 해법만큼은 꼭 나와야 했던 것 아닌가. 검사 출신 두 사람의 이런 한심한 정치는 정치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당과 대통령실의 책임자들 수십 명이 다 모인 자리에서 어느 한 사람도 지금의 국정 실패와 민심이반에 대해 단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니, 정부 여당으로서 최소한의 책임도 직업윤리도 영혼도 없었다”며 “배가 가라앉고 다 망해봐야 정신을 차릴 건가. 그때는 뒤늦게 후회해봤자 아무 소용 없다”고 지적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할 경우 본회의에서 재의결될 예정인 ‘김 여사 특검법’에 대한 야권의 압박도 거세지고 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25일 열린 한국방송기자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어떤 정권에서도 대통령 본인과 가족, 측근에 대한 의혹이 제기됐을 때 특검을 거부한 적 없다”면서 “김건희 여사 특검 같은 경우 대통령 가족과 관련된 건데 의혹 범위와 폭, 깊이가 점점 깊어지고 있어 국회도 이 부분에 있어 그냥 방치하거나 방관하는 건 어렵다”고 밝혔다.
여기에 한동훈 대표가 지난 의대 증원 문제 등 의료개혁 해법을 찾기 위해 제안한 여야의정 협의체는 아직 출범조차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야당에서는 정부를 뺀 ‘여야의협의체’를 먼저 출범시키자고 압박하고 있으나, 사실상 윤 대통령이 결정권을 가진 상태에서 정부가 빠진 협의체 구성의 무용론도 제기된다.
한 대표는 윤 대통령과의 독대를 통해 ‘정면돌파’를 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24일 만찬 이후 한 대표는 홍철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을 통해 대통령과의 재독대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대표는 25일 오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독대를 재차 요청한 배경에 대해 “대통령과 중요한 문제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대통령실은 이에 관해서도 “논의해야 할 일”이라며 불편한 기색을 보이고 있다. 앞서 독대 요청에 대해서도 대통령실은 “별도로 협의해야 할 사안”이라며 거절한 바 있다.
국민의힘은 이번 주 내 여야의정 협의체 출범의 구체적 계획을 밝힐 것이라고 예고했다. 한지아 국민의힘 수석 대변인은 24일 “이번 주까지 윤곽이 나오도록 의료계와 대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정부가 내년도 의대 증원 문제에 관해 논의 불가 방침인데다 현재로선 의사협회의 참여 가능성도 높지 않아 ‘여야 협의체’에 그칠 가능성마저 거론된다.
조성아 기자 jsa@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