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서울 역전세난 다시 불거지나?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4-10-20 14:44:43   폰트크기 변경      
기준금리 인하에도 대출규제에 꽉 막혀

노도강 등 비인기지역에서 침체 뚜렷


[대한경제=김국진 기자]9월 서울의 아파트 실거래가 잠정지수가 -0.47%를 기록하는 등 서울 아파트시장이 주춤한 모습이다.

기준금리 인하 호재에도 불구, 정부의 전방위적 대출 규제에 꽉 막힌 여파로 보이며, 자칫 서울의 역전세난이 재연될 우려도 배제하기 어렵다는 분석도 나온다.

20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따르면 9월 들어 아파트 매매거래량이 이날 기준 2730건에 머물렀다.

아직 신고기한이 열흘여 남았지만 8월(6288건)의 절반에도 못 미칠 것으로 보인다. 10월 거래량도 722건이 전부다.

지난 7∼8월 뜨거웠던 서울의 아파트시장이 관망세로 돌아선 요인으로는 은행권의 돈줄 죄기가 꼽힌다.

9월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시행된 데다 금융당국의 압박 아래 은행권의 대출이 까다로워져서다.

송파구 가락동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집을 사면서 대출을 안 끼는 경우가 거의 없는데, 은행에선 올해 담보대출이 어려우니 내년에 상황을 보자며 대출을 거절하는 경우가 많다”며 “돈줄이 막히면서 매수자들이 자취를 감췄다”고 설명했다.

잠실동의 한 중개업소 대표도 “기준금리 인하 효과는 전혀 없고 당분간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대기자들이 많다”고 전했다.

매물도 급증세다. 아실에 따르면 20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물건은 8만6934건으로 지난 11일(8만5019건) 기준금리 인하 이후 2.2% 늘었다.

마포구 아현동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매수세는 주춤한데, 집주인들이 가격을 낮추지 않고 있어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다”며 “연내 매매 거래가 회복되긴 쉽지 않을 것 같다”고 내다봤다.

시중은행의 돈줄 죄기는 전세로 확산하고 있다.

전세자금 대출금리가 오른 데다, 1주택 이상 보유자들의 대출 창구가 아예 막힌 여파다.

노원구 상계동의 한 중개사무소 대표는 “매매 거래도 안되는데 전세도 찾는 사람이 없어 전세 물건이 쌓이고 있다”며 “만기가 11∼12월로 다급한 집주인들은 보증금을 1000만원씩 깎아서 내놓는 데도 소화가 안 된다”고 말했다.

마포구 공덕동의 한 중개업소 대표도 “대출이 안되니 상급지로 이전하거나 주택형을 넓혀가는 것을 포기하고 기존 집주인과 재계약을 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며 “새로 전세를 얻어 이사를 오겠다는 수요자들의 발길은 뜸하다”고 말했다.

전세 만기가 다가오는데 거래는 안 되니 보증금을 내줘야 하는 집주인들의 걱정도 커지고 있다.

노원구 상계동의 다른 중개업소 대표는 “의정부에 집이 있는 고객이 출퇴근 문제로 서울에 전세를 얻으려다가 대출이 안 돼서 포기했다”며 “매매든 전세든 대출이 필요한 사람은 서민들인데 대출 규제로 돈줄이 막히니 결국 서민들만 피해를 본다”고 말했다.

KB국민은행 박원갑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거래량이나 실거래가 전망지수 등 시장 선행지표를 볼 때 작년과 비슷한 양상으로 시장의 흐름이 꺾이는 상황”이라며 “시장이 침체하면 서울 강북 등 외곽지역부터 집값이 하락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국진 기자 jinny@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부동산부
김국진 기자
jinny@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