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경제=노태영 기자] 온라인 소비 비중이 커지면 취업자가 감소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9일 이 같은 내용의 김지연 경제전망실 전망총괄의 현안 분석을 발표했다.
이번 분석은 2011년 1분기부터 올해 2분기까지의 소매판매액(면세점,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 제외) 대비 무점포소매판매액 비중, 취업자 수 증감 등의 지표를 활용했다. 코로나19 확산 당시 특수 상황과 내수 경기의 영향은 통제했다.
그 결과 온라인 소비 비중이 1%포인트(p) 확대되면 연간 평균 취업자 수가 전년 동기 대비 3만4000명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숙박ㆍ음식점업에서 취업자가 2만3000명, 도소매업에서 1만9000명 각각 줄어들었다. 반면, 운수ㆍ창고업은 8000명 늘었다.
온라인 쇼핑이 확대되면 오프라인에서의 구매 활동과 외식 소비의 감소로 이어져 관련 종사자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17년 1분기부터 올해 2분기까지의 소매판매액 대비 온라인쇼핑 거래액 비중, 소비자물가 상승률 등을 바탕으로 온라인 소비 확대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했다. 다만, 상품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했다.
온라인 소비 비중이 1%p 상승하면 당해 연도의 상품 물가 상승률은 0.07%p가량 하락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자물가 품목 중 상품의 가중치(44.8%)를 적용하면, 소비자물가 지수는 같은 기간 1.1% 낮아진 것으로 추산된다.
결국, 온라인 소비 확대가 고용에는 부정적으로 작용하지만, 물가 상승세가 안정되는 데는 도움을 주는 것이다.
김지연 총괄은 “온라인 소비 확대가 전체 고용에 상당 기간 하방 압력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음은 단기간 내에 종사자들의 업종 간 이동이 쉽지 않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노태영 기자 fact@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