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尹 “글로벌 1000조 시장 ‘원전 르네상스’ …완전한 정상화 박차”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4-10-30 17:04:17   폰트크기 변경      
“정치로 인해 무너지는 일 없도록”…신규건설ㆍ재가동 속도

윤석열 대통령이 30일 경북 울진군 한국수력원자력 한울원자력본부에서 열린 ‘신한울 원전 1·2호기 종합준공 및 3·4호기 착공식’에 참석해 축사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대한경제=강성규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30일 “체코 원전 수주를 발판으로 우리 원전 산업의 수출길을 더 크게 열어나가고 원전 생태계의 완전한 정상화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경북 울진 신한울 원전 부지에서 열린 ‘신한울 원전 1ㆍ2호기 종합 준공 및 3ㆍ4호기 착공식’에서 축사를 통해 “지금 ‘원전 르네상스’를 맞이하고 있고 1000조원의 글로벌 원전시장이 열리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원전 덕분에 경제성장과 번영, 빠른 산업화에 성공했다”며 “현재는 최고의 기술로 원전을 수출하는 명실상부한 원전 강국이 됐다”고 평가했다.

이어 “한울 원전 1ㆍ2호기는 40여년전 유럽의 도움을 받아 건설했는데, 이제 ‘팀코리아’가 체코에서 원전을 건설할 준비를 하고 있다”며 내년 본계약 체결이 잘 성사되도록 직접 끝까지 챙기겠다고 다짐했다.

그러면서 신한울 3ㆍ4호기 건설뿐 아니라 기존 원전의 계속운전, 해외 원전 수주, SMR(소형모듈원자로)을 비롯한 신규 원전 건설 추진 등을 통해 원전업계 일감을 충분히 공급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정치로 인해 원전산업의 미래가 무너지는 일이 없도록 ‘2050 중장기 원전 로드맵’을 마련하고 ‘원전 산업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30일 경북 울진군 한국수력원자력 한울원자력본부에서 신한울 원전 3·4호기 착공 퍼포먼스에 참여해 박수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신한울 원전 1ㆍ2호기의 본격 가동과 3ㆍ4호기 착공으로 윤석열 정부가 내세운 ‘원전 정상화’ 작업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무엇보다 ‘탈(脫) 탈원전’ 기조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신한울 3ㆍ4호기 건설 공사가 우여곡절 끝에 본격화되며 국내 원전 산업 재도약을 위한 발판이 마련됐다는 평이다.

대통령실 등에 따르면 신한울 3ㆍ4호기는 지난 2016년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건설 허가를 신청했으나 신청 1년여 만인 2017년 이른바 ‘탈원전’ 기조가 핵심인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 전환 로드맵’에 따라 심사를 비롯한 건설사업이 전면 중단됐다.

이후 윤석열 정부가 들어선 2022년 7월 심사가 재개돼 지난해 9월 건설이 허가됐으며, 지난달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최종 승인이 났다. 건설을 위한 첫삽을 뜨기까지 무려 9년이란 세월이 흐른 셈이다.

신한울 3ㆍ4호기는 1ㆍ2호기와 동일한 1400메가와트(㎿)급의 신형 가압경수로(APR1400) 모델로 지어진다. 전체 공사 비용은 11조7000억원 규모다.

건설기간 10여년 동안 누적 인원 720만여명이 투입되는 등 일자리 창출과 신한울이 위치한 울진을 비롯한 경북 등의 지역 경제 활성화 효과도 기대된다. 경북 경주에 들어서는 소형모듈원자로(SMR) 국가산업단지 등 미래 원전 산업 토대 마련과 지방시대 실현을 위한 마중물도 될 것으로 기대된다.

2030년 조성을 목표로 하는 국가산단은 150만㎡ 규모로 원자력ㆍ전력, 원전해체, 연구개발서비스 등 핵심 23개 업종과 그린에너지, 소재부품, 전기설비 등 29개 연관 업종이 입주한다. 이곳을 국가 차원의 차세대 원자력 연구개발과 수출을 위한 거점으로 만들겠다는 게 정부의 구상이다.

신한울 준ㆍ착공을 신호탄으로 정부가 약속한 새울 원전 3ㆍ4호기 등 신규 원전 준공과 운영이 중단된 원전들의 재가동 추진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원자력 발전은 전쟁 위기로 인한 살상 무기 활용 우려와 폐기물 처리 문제 등으로 선진국을 중심으로 폐기하는 수순을 밟았고, 전임 정부 또한 이 같은 추세를 뒤늦게 따랐다.

그러나 최근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첨단산업의 대두와 기후 변화 등으로 급증하는 전력 수요를 충당할 수 있는 ‘고효율’ 전력 생산 방식이자 국제사회 공통의 과제인 탄소 저감 등 친환경 에너지 수단으로 재평가되며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에 가장 먼저 탈원전 정책을 도입한 유럽 등에서 차례대로 탈원전을 폐기하는 기조로 전환했고, 우리 정부 또한 2022년 5월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내놓은 국정과제에서 지난 정부가 폐쇄하기로 했던 원전 10기를 재가동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아울러 정부는 지난 5월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실무안’에서 2038년까지 대형 원전 3기와 SMR 1기를 더 짓겠다고 발표했다.

대통령실은 원전 재도입에 잇따라 나서는 국제사회 추세, 특히 체코ㆍ아랍에미리트ㆍ폴란드 등에서 ‘팀코리아’의 신규 원전 건설 수주 등이 예상되면서 국내서도 원전 재도약을 위한 무대와 명분이 마련된 것으로 보고 있다.

윤 대통령은 “최초 허가된 설계수명이 지나면 폐기한다는 탈원전 정책 탓에 계속운전(설계수명기간이 만료된 원전을 계속해 운전하는 것) 심사를 받을 수 없어 내후년까지 총 5개의 원전이 멈추게 된다”며 “이로 인한 손실액이 천문학적이고 이는 고스란히 국민과 산업계의 부담이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기존 원전을 안전하게 오래 쓰고, 미래 혁신 원전을 과감히 도입할 수 있도록 하루빨리 제도를 마련하겠다”며 “안전만 보장되면 기간 제한 없이 운영하고 있는 영국, 프랑스 같은 선진사례를 참고해 안전이 확인된 원전은 계속 가동할 수 있도록 제도를 고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SMR과 같은 미래 혁신 원전 주도권 확보를 위해 안전과 허가 기준 개선 등 제도적 뒷받침에 나설 것을 약속하며, 국회에도 “여러 건의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련 특별법’이 발의돼 있는데 조속히 통과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강성규 기자 gga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정치사회부
강성규 기자
ggang@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