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 전경 / 한국무역협회 제공 |
한국무역협회는 31일 이러한 내용을 골자로 하는 ‘주요국의 제약ㆍ바이오의약품 산업 공급망 재편 정책 및 시사점’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ㆍEU 등 제약 선진국들은 원료의약품에 대한 높은 해외 의존도 등 리스크 요인을 개선하고자 공급망 회복력 강화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동안 의약품 생산은 중요 출발 물질 및 중간체(중국) → 원료의약품(API, 중국‧인도) → 완제의약품(미국ㆍEU)의 과정을 거치는 방식의 국제 분업체계를 유지해왔다.
고급 원천기술보다는 대량 생산이 필요한 원료의약품은 생산비용이 낮은 중국ㆍ인도가 담당하고, 연구개발 및 완제 의약품 생산은 미국과 유럽에서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하지만 팬데믹 시기 인적‧물적자원 봉쇄 및 수출통제 등으로 그동안 손쉽게 조달할 수 있었던 중국ㆍ인도산 원료의약품 수급에 어려움을 겪자, 주요국들은 안정적인 의약품 공급망 확보에 나서게 됐다는 설명이다.
미국은 2021년 의약품을 반도체ㆍ배터리ㆍ핵심광물과 함께 4대 핵심 분야로 지정하고 자국 내 생산 확대와 핵심 의약품 재고 확보에 나섰다. 또한 대중국 투자심사를 강화하고 ‘바이오안보법’ 추진을 통해 중국 바이오 기업으로의 개인정보 이전을 제한하는 등 중국 리스크 완화에 주력하고 있다.
세계 2대 의약품 시장인 EU는 올해 12월 ‘핵심 의약품 목록’ 작성, 내년 1월 ‘핵심의약품연합’ 결성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바이오기술법’ 도입을 통해 바이오 분야 경쟁력을 강화하고 한국 등 주요국과의 기술 협력도 확대할 방침이다.
한국은 바이오시밀러 FDA 허가 기준 세계 2위(11개), EMA 허가 기준 세계 1위(14개)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바이오시밀러 수출도 2021년 9억8100만달러에서 지난해 14억6800만달러로 증가했다. 하지만 원료의약품의 경우 중국(22.6%)과 인도(47.0%)에 대한 수입 의존도가 높아 공급망 리스크가 큰 상황이다.
무협 한주희 연구원은 “주요국의 공급망 재편으로 국내 CDMO(위탁개발생산) 업계의 수혜가 기대되지만 경쟁 심화와 원료의약품의 높은 중국산 의존도는 리스크 요인”이라며 “주요국의 정책 모니터링 강화, 국내 바이오 공급망 점검, 의약품 국제협력 체계 공고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희용 기자 hyo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