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해양수산부 |
[대한경제=이재현 기자]정부가 김 영문 명칭을 ‘GIM’으로 국제표준화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국산 김 산업의 국가 경쟁력을 키워 ‘K-김’을 브랜드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 품질에 따라 가격을 차별화하기 위해 마른 김 등급제를 도입한다. 소비자의 선택의 폭과 김 산업의 범위를 넓히기 위해서다.
해양수산부는 31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김 산업 경쟁력 강화와 수급 안정 대책’을 발표했다.
해수부는 김의 영문 명칭인 ‘GIM’을 확산시키고 우리 김 제품 규격안이 글로벌 스탠다드가 될 수 있도록 국제표준화(국제식품규격위원회, CODEX)를 추진한다.
돈이나 한우처럼 K-김을 브랜드화하기 위해 김의 명칭과 수출 규격 등에 대한 표준화 제안서를 만들기 위해서인데, 국제표준으로 인정받으면 비관세 장벽이 완화돼 수출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해수부측은 설명했다.
해수부는 내년 중에 국제표준화를 위한 추진 방안을 완성하고, 제안서를 CODEX에 제출하기 위해 관련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질 좋은 김 생산을 유도하기 위해 김 등급제도 도입한다. 등급에 따라 가격을 차별화해 소비자 선택의 폭을 늘리고, 고품질 마른 김을 프리미엄 김 제품 생산에 활용하는 등 김 산업의 범위를 넓히기 위해서다.
해수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2027년까지 김 수출액을 10억달러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내걸었다. 지난해 김 수출액 7억9000만달러 보다 2조1000억달러 늘리겠다는 것이다.
이와함께 해수부는 김 수급 안정화 대책도 마련한다. 국내 물김의 연간 생산량은 50만∼60만t(톤) 수준이지만, 세계 김 시장 교역 규모는 지난 2014년 4억4000만달러에서 지난해 10억8000만달러로 연평균 10.5%씩 커지는 상황에서 공급을 확대해 가격을 안정화할 필요가 있다는게 해수부의 판단이다.
국내 김 양식장 면적은 지난 2016년 6500㏊(헥타르·1㏊는 1만㎡)가 추가로 구축된 이후 현재까지 6만4000㏊ 정도로 유지되고 있다.
이에 해수부는 김 생산량 확대를 위해 깊은 바다(외해)에서 시범 양식에 나설 계획이다.
시범 양식 후보지는 전남 완도·여수·신안의 1천㏊ 규모다.
해수부 관계자는 “김 양식장을 추가로 설치할 해역이 마땅치 않은 점을 고려해 수심 35m 이상의 바다에서 김 양식이 가능한지 시험해볼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해수부는 또 육상에서 김을 양식하는 기술을 내년부터 개발하고, 고수온에 강한 김 양식 품종을 오는 2026년까지 개발해 현장에 보급하는 등 기후변화에 대응한 생산 체계도 구축할 예정이다.
이밖에 김 산업 실태를 조사하고 중국과 일본 등 김 생산국의 생산ㆍ소비 동향을 파악해 데이터에 기반한 수급 조절에 나서기로 했다.
아울러 해수부는 김 유통과 가공 분야의 경쟁력 강화 대책도 추진한다. 이와 관련 약 300개에 달하는 마른김 업체를 조직화할 수 있도록 ‘마른김 수협’(가칭) 출범을 지원하는 정책을 검토 중이다.
또 내년부터 중소벤처기업부와 협업해 김 가공 공장을 스마트 공장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물류비용을 줄이기 위해 물김의 주생산지인 전남에 산지거점유통센터 1개소를 신축하고, 나주 소비자분산물류센터를 증축한다.
오는 2026년까지 목포에 수산 식품 수출단지를 조성해 김 가공·수출 기업의 연구개발과 수출을 지원하고, 마른김 거래소를 설립해 김 거래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계획도 세웠다.
이재현 기자 ljh@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