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쉬었음' 1년새 24만명 늘었다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4-11-06 13:44:20   폰트크기 변경      

[대한경제=노태영 기자] 일도 구직 활동도 하지 않는 사람이 1년 새 24만명 넘게 증가했다.

통계청은 6일 ‘경제활동인구조사 비임금근로 및 비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8월 비경제활동인구는 1621만1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만8000명 늘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만 15세 이상 생산 가능 연령 인구 중 취업자가 아니면서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사람이다.

15세 이상 인구 중 비경제활동인구 비중은 35.6%로 지난해와 같았다. 활동 상태별로 보면 가사(36.8%)가 가장 많았다. 이어 재학ㆍ수강 등(20.0%), 쉬었음(15.8%) 순이었다.

특히,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쉬었음’ 인구는 1년 전보다 24만5000명 증가했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차지하는 비중도 14.4%에서 15.8%로 높아졌다.

연령별로 보면 60대가 8만명 늘었고 70대와 20대도 각각 6만5000명, 5만4000명 증가했다.

쉬었음의 이유는 연령별로 달랐다. 청년층에서는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라는 응답이 30.8%로 가장 많았다. ‘일자리가 없어서’라는 응답도 9.9%로 조사됐다.

청년층을 제외한 다른 연령대에서는 ‘몸이 좋지 않아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향후 1년 이내 취업ㆍ창업을 희망하는 비경제활동 인구는 336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5만7000명 줄었다.

임금 근로 취업 희망자의 주요 고려사항으로는 ‘근무 여건’(31.9%)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올해 8월 자영업자와 무급가족종사자 등 비임금근로자는 665만7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6만7000명 줄었다. 2020년 8월 16만1000명 감소한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취업자 중 비임금근로자 비중도 23.1%로 0.3%포인트(p) 하락해 8월 기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산업별 비임금근로자는 농림어업 149만7000명(22.5%), 도소매업 107만4000명(16.1%), 숙박ㆍ음식점업 85만2000명(12.8%) 순으로 많았다.

비임금근로자는 평균적으로 사업 또는 일자리를 15년 4개월간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임금근로자 중 현재 사업체(일)를 계속 유지할 계획이라는 응답은 86.6%, 일을 그만둘 계획이라는 응답은 5.8%로 나타났다.

사업체(일)를 그만둘 계획이 있는 자영업자의 주된 이유는 전망이 없거나 사업부진(40.9%)이 가장 많았다.


노태영 기자 fact@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경제부
노태영 기자
fact@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