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보편관세 정책 직격탄 우려
인플레감축법 폐지 공약도 변수
현대차그룹의 미국 전기차 신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사진: 현대차그룹 제공 |
[대한경제=강주현 기자] 연간 100만대를 미국에 수출하고 있는 현대차그룹이 트럼프 재집권으로 중대 기로에 섰다. ‘아메리카 퍼스트(미 우선주의)’를 앞세운 보호무역주의가 재연될 전망이어서다.
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이미 대선 전부터 태스크포스를 가동, 트럼프발(發) 위기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지난해 100만대를 미국에 수출한 현대차그룹으로선 트럼프의 ‘10% 보편관세’ 정책이 직격탄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우려스러운 건 현지 생산 비중이다. 현대차ㆍ기아의 미국 생산비중은 37.7%로, 도요타(54.7%)와 혼다(77.8%)에 크게 뒤진다. 팰리세이드와 제네시스 등 주력 모델의 국내 생산 비중이 높아 관세 부담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트럼프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 폐지’ 공약도 변수다. 현대차그룹이 조지아주에 건설 중인 전기차 공장 ‘메타플랜트’의 전략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7500달러의 세제 혜택을 전제로 한 투자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대차그룹의 대응 카드도 만만찮다. 우선 하이브리드 라인업 확대로 승부수를 띄운다.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 ‘TMED-Ⅱ’를 앞세워 미국의 전기차 수요 둔화(캐즘)에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미국 기업’으로서의 면모도 강조한다. 2025년까지 74억달러 투자를 약속했고, GM과의 포괄적 협력도 체결했다. 올해 역대 최대인 179만달러의 로비 자금도 투입했다.
호재도 있다. 원ㆍ달러 환율이 1400원대에 진입하며 수출 채산성이 개선됐다. 송선재 하나증권 연구원은 “현 환율이면 현대차ㆍ기아 영업이익에 최대 8000억원의 기여가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결국 현대차그룹의 운명은 ‘현지화’에 달렸다는 평가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생산 비중 확대와 하이브리드 포트폴리오 강화가 위기 극복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강주현 기자 kangju07@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