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경제=이근우 기자]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8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고령사회 분야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는 내년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증가하고 있는 돌봄수요와 재정지출 등 고령화가 경제ㆍ사회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고, 우리나라 고령화 정책의 방향과 쟁점과제 검토를 위해 마련됐다.
저고위가 8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고령사회 분야 전문가 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저고위 제공 |
간담회에는 주형환 부위원장과 김진현 서울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홍석철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가 참여했다. 분야별 전문가로는 정완교 서울대 교수, 권정현 한국개발연구원(KDI) 박사, 박미선 국토연구원 박사, 한은정 건강보험연구원 박사 등이 함께 했다.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는 상황이다. 베이비붐 세대가 75세 이상 후기 고령기에 진입하는 5년 후인 2030년에는 의료ㆍ요양 등 돌봄 수요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간담회에서는 인구 고령화에 따른 영향과 함께 현재 추진중인 정책의 한계를 진단하고, 고령자의 건강한 노후 생활과 삶의 질 보장을 위한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
특히 지속가능한 고령사회를 위한 △의료ㆍ요양 등 돌봄서비스의 체계적 제공 △고령자가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는 고령친화주거 △소비능력을 갖춘 노인세대를 고려한 고령친화산업 등 핵심 분야별 정책 현황과 쟁점 과제에 대해 집중 토론했다.
주 부위원장은 “급격한 고령화는 신체적ㆍ정신적 건강 등 개인의 삶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국가의 성장잠재력을 약화시키고 사회의 역동성을 저하하는 등 국가의 노화로 이어진다”며 “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국가의 비전과 세밀한 정책설계가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이어 “고령자가 살던 곳에서 충분히 의료ㆍ요양 등 돌봄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돌봄서비스의 양과 질을 대폭 제고하면서 재가돌봄이 가능하도록 이를 고령자 주택과 연계하는게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고위는 간담회에서 논의된 고령사회 대응 정책방향 및 쟁점과제 등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 등을 적극적으로 검토해 고령사회 대응 비전 수립 및 전략 등을 계속 도출해나갈 방침이다.
한편 저고위는 고령층의 수요를 반영한 고령사회 대응방안 마련을 위해 지난 7월 ‘고령사회 대응 정책추진단’을 발족한 바 있다. 이를 통해 관계 전문가 및 정부부처와 함께 직면하는 초고령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고령정책 논의를 지속중이다.
이근우 기자 gw89@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