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임팩트, 계통 연결 불확실성에 청정수소 발전사업 불참
전기위원회, ‘계통 보강 조건부’ 사업허가 늘어
발전소 건설 일정, 전력망 문제로 조정 불가피
한화임팩트 대산사업장 내 위치한 수소터빈 실증 현장./ 사진:한화임팩트 |
[대한경제=신보훈 기자] 전국적인 전력계통 포화 현상이 신규 발전사업자들의 시장 진입을 가로막고 있다. 전력을 생산해도, 이를 전달할 송전망이 부족해 향후 6∼7년간은 계통 연결이 어려운 상황 때문이다. 기존 사업자들도 계통 문제에 따른 발전제약으로 골머리를 썩지만, 신규 사업자에겐 발전계획 수립 자체를 어렵게 만드는 결정적인 장애물로 작용하는 실정이다.
1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마감한 청정수소 입찰에 한화임팩트가 제안서를 제출하지 않은 이유는 향후 수소가격의 변동성을 포함한 계통 연결의 불확실성 때문인 것으로 확인됐다.
한화임팩트는 그동안 수소발전 사업을 위해 수소터빈 기술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해 왔다. 작년 4월엔 LNG(액화천연가스)에 수소를 60% 혼소해 발전하는 수소터빈 실증에 성공했고, 뒤이어 100% 전소 수소터빈 가동에도 성공한 바 있다. 지난 9월엔 청정수소 시장에 참여하기 위해 전기위원회로부터 ‘대산 수소가스터빈 발전사업’ 허가도 받았다.
하지만 이는 2032년에나 계통을 연계할 수 있다는 조건부 허가였다. 해당 프로젝트는 충남 서산 대산읍 일대에 설비용량 120㎿ 규모의 발전소를 건설하는 사업인데, 준공 시기와 관계 없이 전력망 접속 가능 시기를 특정하는 내용이었다. 이는 한국전력이 해당 지역의 전력망 보강 시기를 2031년 12월 이후로 계획한 점을 반영했다.
민간 사업자 입장에선 신규 발전시장을 위한 기술적 준비를 마쳤음에도 불구하고, 전력망 포화에 따른 불확실성 문제 때문에 입찰에 참여하기 어려워진 불합리한 여건이 만들어진 셈이다.
한화임팩트 관계자는 “발전소를 준공 해도 계통 연결이 늦어지면 정상 운영이 힘들다. 조건부 사업허가로 인해 예측하기 힘든 리스크를 포함해 향후 수소 가격의 변동성, 수소발전의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불참 사유를 밝혔다.
계통 보강 조건부 사업허가는 최근 들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일례로, 올 하반기에 허가를 받은 ‘천사나눔 태양광 사업(설비용량 97.99㎿)’은 2030년 12월 이후 계통 연계 조건이 붙었다. ‘고흥솔라 오마5차 태양광 사업(26㎿)’ 또한 2031년 12월 이후에나 전력망 연결이 가능한 조건부 허가를 받았다. 이는 불과 2∼3년 전만 해도 찾아보기 힘든 모습들이다. 특히, 태양광 사업은 타 발전원 대비 건설 기간이 짧아 송배전망 구축 지연에 직격타를 맞고 있다.
재생에너지에만 국한된 문제도 아니다. ‘인천종합에너지 열병합 발전사업(500㎿)’은 LNG 용량시장 개설 전인 지난달 말 가까스로 사업허가를 받았지만, 2031년 12월 이후 계통 연결이 가능하다는 통보를 받았다. 해당 사업은 2031년 4월 설계 연한을 채우는 GS EPS의 ‘당진복합 1호기’를 대체하는 프로젝트다. 애초 2027년 착공, 2030년 준공 목표였으나 전체적인 사업 일정 조정이 불가피해졌다.
발전업계 관계자는 “태양광 발전소는 대규모 프로젝트도 2년이면 준공하는데, 6∼7년 뒤에나 계통이 연결된다는 건 사업을 하지 말라는 거다. 제주도와 호남권에선 적어도 수년간 신규 사업은 어렵다고 보고 있다”라며, “인천 열병합 발전만 해도 준공 목표와 계통 연결 가능 시기가 최소 1년 이상 차이가 난다. 전력망 때문에 발전소 건설은 늦춰야 하는 웃지 못할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신보훈 기자 bba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