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경제=이재현 기자]이웃 간 갈등을 넘어 사회적 문제로까지 번진 ‘층간소음’. 층간소음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도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바닥구조의 개발을 통해 소음을 줄이는가 하면, 위층 바닥과 천장 마감 사이에 방음 소재를 시공하는 기술도 개발됐다.
그러나 민간에서 층간소음을 당장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기술 개발부터 층간소음 개선을 위한 시험을 하기에는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나선 곳이 있다. 바로 공공주택을 이끄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다.
![]() |
세종시‘주택성능연구개발센터(HERI)’에 위치한 ‘데시벨 35 랩(db 35 Lab)’ 모습.(사진:이재현 기자) |
지난 21일 세종시에 위치한 LH의 ‘주택성능연구개발센터(HERI)’에 들어서자 한 건물이 눈에 띄었다. 바로 LH가 층간소음을 잡고자 건설한 ‘데시벨 35 랩(db 35 Lab)’이다. 데시벨 35 랩은 층간소음 1등급 기준(37㏈) 보다 상향된 35㏈ 목표 실현을 위한 테스트 베드 역할을 한다. LH의 자체기술뿐만 아니라 기술 개발 이후 제대로 된 시험을 할 수 없는 중소기업에 장소를 제공해주게 된다.
내년 3월 전면 개방되는 이 건물은 5개 층으로 84㎡ 구조의 아파트를 그대로 구현했다. 기존 아파트와 다른 점은 바로 층간소음 기술이 적용된 것이다.
데시벨 35 랩에는 LH의 층간소음 1등급 기술이 접목됐다. 슬래브 두께는 4등급(210mm)보다 40mm 두꺼운 250mm, 그 위에는 1등급 복합완충제(40mm), 고밀도 몰탈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40mm, 30mm 적용됐다. 상부 몰탈에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난방배관고정 와이어메쉬를 적용했다.
마지막으로 마감재는 층간소음을 잡을 수 있는 고성능 천정 마감재와 바닥 마감재가 적용됐다.
![]() |
‘데시벨 35 랩(db 35 Lab)’에 구현한 층간소음 1등급 바닥구조 모습.(사진:이재현 기자) |
LH는 각고의 노력끝에 1등급에 적용할 기술을 개발했다. 총 9차례에 걸친 기술 실증 끝에 복합완충제와 고밀도 몰탈의 핵심 기술요소와 층간소음 저감 공법을 확보한 것이다.
층간소음은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으로 나뉜다. 경략충격음은 물건을 떨어뜨리거나 의자를 끄는 소리 등 가볍고 딱딱한 충격음, 중량충격음은 아이들이 뛰는 소리, 러닝머신 소리 등 무겁고 부드러운 충격음을 일컫는다.
LH의 1등급 기술은 경량과 중량 충격음 모두를 잡았다. 실제 기자가 데시벨 35 랩에서 층간소음 4등급 기술과 1등급 기술을 비교해보니 확연한 차이가 느껴졌다.
데시벨 35 랩 2층에서 일명 ‘발망치’로 불리는 아이들 뛰는 소리를 재연하자 4등급과 달리 1등급에서는 소음이 조용한 수준에 그쳤다.
1등급 기술이 실제 아파트에 적용된다면 각 가정에서 가동하는 백색가전 등의 소리에 묻혀 발망치 소리를 느끼지 못할 정도였다.
이후 2층에서 의자 끄는 소리, 런닝머신 소리 등을 시험했고, 역시 1층에서는 기존 아파트와 달리 소음이 확연하게 줄어드는 것을 체험할 수 있었다.
특히 눈에 띄는 기술은 바로 ‘소음발생 예방시스템’이다. 거주하고 있는 집에서 일정 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면 센서가 진동으로 이를 감지하고 월패드와 핸드폰으로 즉시 ‘경고’를 주게 된다.
![]() |
‘데시벨 35 랩(db 35 Lab)’에 적용된 소음발생 예방시스템 모습.(사진:이재현 기자) |
기존 아파트들은 1등급 기술을 접목하기에 한계가 있어 소음발생 예방시스템을 도입하면 이웃간의 분쟁이 확연히 줄어들 것이라는게 LH측의 설명이다.
LH는 층간소음을 잡는 1등급 기술을 내년부터 시작되는 주택설계에 본격 적용할 예정이다. 3기 신도시 공공주택에는 전부 1등급 바닥구조가 적용되는 것이다.
문제는 바로 비용이다. 층간소음을 잡기 위해선 기존보다 많은 자재가 투입된다. LH는 1등급 기술이 공공주택에 적용되면 전용면적 59㎡ 기준 세대당 300만원의 추가적인 비용이 들어갈 것으로 추산했다.
그러나 LH는 이러한 비용을 다른 부분에서의 비용절감 등을 통해 소비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한준 LH 사장은 이날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해 가장 궁금해하는 것이 분양가 상승의 문제”라며 “세대당 300만원은 원가를 절감하는 등 공급자 측면에서 감내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LH는 벽식 구조외에도 라멘 구조와 모듈러와 PC 등 OSC(탈현장 공법)가 적용된 주택의 층간소음을 잡기 위한 기술개발에도 나서고 있다.
이한준 사장은 “2년 전 취임 당시 층간소음을 해결하겠다고 약속했다”며 “층간소음을 잡기 위해 LH의 기술력과 테스트 베드를 민간과 공유해 전파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재현 기자 ljh@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