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경제=박흥순 기자]국방부가 한국군의 통수권자가 누구인지 묻는 외신의 질문에 답변을 하지 않았다는 보도가 나왔다.
8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국방부는 이날 “한국군의 통수권자가 누구냐”는 외신의 질문에 답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 |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3일 시민들이 방송을 시청하고 있다. /사진:연합 |
군통수권은 통상 국가원수인 대통령이 지닌다. 다만 윤석열 대통령은 ‘12·3 비상계엄’ 이후 검찰에 의해 내란 혐의 피의자로 입건됐고 2선으로 물러나겠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다.
하지만 헌법상 군통수권은 여전히 윤 대통령이 가지고 있다. 전날 국회에서 진행된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여당인 국민의힘의 불참으로 불성립되면서다.
현 상황에서 대북 군사 상황이 발생할 경우 국방부장관이 군 지휘를 해야하지만, 현재 국방부장관도 공석인만큼 김선호 국방부차관이 군 지휘를 담당하게 된다. 문제는 김 차관도 명령체계상 군통수권자이 살아있는 윤 대통령의 지휘를 받아야 한다는 점이다.
다만 윤 대통령이 내란혐의를 받는 만큼 그의 명령을 군이 수행할 지 여부는 장담하기 어렵다.
전인범 전 특수전사령관은 “군 지휘관 중 많은 이들이 이번 계엄사태로 실망했고 일부는 배신을 당했다고 느끼고 있다”며 “정치적 문제 해결을 위해 군을 동원했다는데 불만을 지니고 있다”고 말했다.
군통수권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대북 억지력이 약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리프-에릭 이슬리 이화여대 국제학과 교수는 “북한은 이번 사태를 관망하는 태도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면서도 “분열을 이용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박흥순 기자 soonn@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