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에스안과 권영아 원장. / 지에스안과 |
[대한경제=김태형 기자] 시력교정술을 고려하는 경우 먼저 떠올리는 방법은 라식, 라섹 등의 레이저 시력교정술이다. 이는 레이저로 각막을 절삭해 시력을 교정하는 방식으로 오랜 시간 시행해온 수술인 만큼 대중적인 선호도가 높다.
하지만 모든 경우 레이저 시력교정술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각막 두께가 얇거나 각막 모양이 불규칙한 경우, 고도근시, 초고도근시, 고도난시와 같이 시력이 심하게 나쁜 경우는 수술이 어려울 수 있다.
이미 수술을 받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시력이 다시 저하된 경우도 레이저 시력교정술이 부적합할 수 있다. 라식, 라섹은 수술 뒤 깎아낸 각막이 다시 자라 두꺼워지면서 시력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 특히 근시량이 많다면 절삭량만큼 각막이 재생되면서 시력 저하 속도가 빨라질 수 있는데, 이때 다시 수술을 받으려면 잔여 각막 문제로 인해 시력교정술 선택에 신중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고려할 수 있는 방법으로 렌즈삽입술이 있다.
렌즈삽입술은 눈 안에 시력을 교정할 수 있는 렌즈를 삽입하는 수술법이다. 이는 각막을 손상시키지 않고 시력을 교정할 수 있어 각막이 얇거나 각막 모양에 이상이 있는 경우, 고도근시나 고도난시가 있는 경우 등 레이저 시력교정술이 어려운 경우 적합하다. 근시퇴행을 최소화할 수 있어 시력교정술 후 재교정이 필요할 때도 추천할만 하다.
렌즈삽입술은 통증이 적고 회복기간이 짧은 것이 특징이다. 안구건조증, 빛 번짐 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수술 후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 하면 삽입했던 렌즈를 제거해 이전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다만 렌즈삽입술 시에는 렌즈의 종류와 도수, 사이즈를 결정하는 일이 중요하다. 렌즈의 종류나 도수가 맞지 않으면 수술 후 선명한 시력을 기대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렌즈 사이즈가 안구 내부 공간에 적합하지 않으면 다양한 후유증을 유발할 수 있다. 렌즈의 크기가 크면 방수의 흐름을 막아 녹내장을 일으킬 수 있다. 반면 렌즈의 크기가 작으면 렌즈가 눈 안에서 움직이며 각막내피세포 감소나 백내장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부작용 방지를 위해서는 수술 전 다양한 정밀검진 결과를 바탕으로 한 측정 및 분석을 통해 개인의 눈에 알맞은 렌즈를 결정해야 한다.
지에스안과 권영아 원장은 “시력교정술 후 시력이 다시 나빠져서 재수술을 고려한다면 다각적인 정밀 검사를 통해 시력이 떨어진 원인을 파악하고 연령, 근시 정도, 잔여 각막량 등에 따라 개인에게 적합한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며 “렌즈삽입술은 각막을 그대로 보존할 수 있어 시력이 나쁘거나 재수술이 필요한 경우 시도할 수 있는 수술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렌즈삽입술은 미세한 오차가 수술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검사를 통해 수술 적합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다각적인 정밀검사를 바탕으로 조금의 오차도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아울러 눈 내부에 렌즈를 직접 삽입하는 방식으로 높은 기술력이 필요하므로 안과 선택 시 의료진의 임상경험과 노하우, 최신 장비 보유 여부, 체계적인 사후 관리 프로그램 등을 면밀히 체크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김태형 기자 kth@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