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우화된 당 이미지 쇄신 ‘과제’
대국민 사과 등 검토 가능성
비대위원장에 지명된 국민의힘 권영세 의원이 지난 24일 열린 의원총회에 들어서고 있다./사진:국민의힘 제공 |
[대한경제=조성아 기자] 국민의힘이 권영세 의원을 비대위원장으로 앉히면서 5선 중진의 권영세ㆍ권성동 ‘쌍권 투톱 체제’가 갖춰졌다. 국민의힘은 26일 온라인 상임전국위원회를 거쳐 30일까지 권 의원을 비대위원장으로 정식 임명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친윤계가 또다시 장을 장악하게 되면서 윤석열 대통령 계엄과 탄핵국면에 대한 비판을 돌파할 수 있을지 우려스럽다는 지적이 나온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지명자는 24일 비대위원장에 지명된 이후 화합과 쇄신이 필요하다고 하면서도 ‘안정’에 방점을 찍었다.
그는 “안정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당의 단합인데 단합이 안 되고 그래서 당이 안정이 안 된 상태에서 어떻게 당을 바꿀 수가 있겠냐”고 강조했다.
현실적으로 쇄신 방안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 내부 단합을 우선하면서 당을 먼저 안정화시키겠다는 의도로 읽힌다.
권 지명자는 상대적으로 계파색이 옅다는 평가를 받지만 ‘친윤계’로 분류된다. 권성동 원내대표와 ‘투톱’으로 당을 이끌게 되었으나 당 운영 주도권은 권 원내대표에게 좀 더 쏠릴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권 원내대표가 권영세 의원을 비대위원장으로 지목한 것 역시 ‘무색무취’한 권 의원의 성향을 감안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권영세 비대위’가 출범해도 개혁보다는 그동안의 내분 수습에 좀 더 주안점을 둘 가능성이 높다. 친한계와 극한까지 치달았던 갈등 국면을 봉합하고 당 지지율을 끌어올리는 방안도 찾아야 하는 상황이지만, 결국 ‘친윤 중심’으로 당이 결집하는 안정화 수순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새 비대위는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경우 이를 준비해야 하는 만큼 계엄과 탄핵 사태를 거치며 극우화된 당 이미지를 쇄신하고 떠나간 중도층 지지를 끌어올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도 높다. 조기 대선이 치러지더라도 현 상황에서 야권 주자에 대적할 만한 후보군이 마땅치 않다는 점도 국민의힘이 가진 고민거리다.
이에 새 비대위 출범과 함께 계엄과 탄핵 사태에 대한 대국민 사과 등을 검토할 가능성 거론된다. 국민의힘은 한동훈 전 대표가 사퇴하면서 밝힌 사과 외에는 계엄·탄핵 사태에 공식 사과를 아직 하지 않았다.
결국 국민의힘이 ‘도로 친윤당’의 오명 속에 ‘친윤 지도체제’를 꾸린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이 당의 운명을 가를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만일 탄핵이 기각된다면 기사회생의 기회를 노릴 수도 있으나, 탄핵 가결 시엔 국민의힘은 당 해체에 준하는 위기를 맞을 가능성이 높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25일 국민의힘 신임 비대위원장에 권 의원이 임명된 데 대해 거세게 비판했다. 강유정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윤석열 대통령이) 공소시효도 없는 내란죄를 저질렀는데, 각설이 친윤은 죽지도 않고 계속 돌아온다”며 “내란죄를 저질러도 ‘도로 친윤당’”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권 의원에 대해서도 “비상계엄 사태 직후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내란 수괴와 대책 회동을 가질 정도의 ‘찐’ 친윤”이라며 “윤석열 대선 캠프 선거대책본부장,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부위원장, 윤석열 정부 초대 통일부 장관 등 중요한 순간마다 (윤 대통령) 곁에서 힘을 실어주며 직함을 챙겨간 측근”이라고 지적했다.
조성아 기자 jsa@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