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부동산 시장에 트리플 쓰나미가 밀려올 조짐이다. 입주 물량 급감, 분양 절벽에 이어 주택건설업의 경영여건 악화가 불보듯 하기 때문이다. 경기 회복이 지연되면서 주택공급 부족이 현실화할 경우 향후 2~3년 내 과거 문재인 정부 때의 집값 폭등이 되풀이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많다.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는 내년도 수도권 입주물량은 12만5382가구로 올해(17만4559가구)보다 28%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전국적으로도 올해 30만4213가구에서 23만7582가구로 22% 감소할 것으로 부동산 플랫폼 직방은 내다봤다. 2~3년 뒤 입주량을 가늠할 분양 물량 역시 비관적이다. 25개 주요 건설사의 내년도 전국 분양물량은 14만6130가구에 불과한 탓이다. 아직 분양 계획이 확정되지 않은 일부 건설사 물량을 더한다 해도 15년 만에 최저치다. 예년보다 무려 10만가구나 적은 ‘공급 절벽’이 아닐 수 없다.
대규모 택지를 매입해서 아파트를 짓고 분양하는 건설업계의 경영악화도 심상치 않다. 매출액영업이익률은 지난해 3.85%에서 올해 3분기 3.06%로 줄어들었다고 건설산업연구원은 밝혔다. 총자산증가율은 1.80%에서 마이너스 1.95%로 역성장했다. 다른 산업은 전체적으로 개선되는 상황에서 건설업의 부채비율과 차입금 의존도는 오히려 악화일로다. 인건비와 자잿값 상승에 더해 환율 쇼크까지 본격화하면서 업계의 공급 여력은 한계에 직면한 느낌이다.
단기적으로 주택 공급 부족분을 공공 부문에서 메워야 하겠으나 근본적으로 건설투자 활성화 조처로 민간 참여를 적극 유도해야 한다. 아울러 빌라 및 도시형생활주택 등 비(非)아파트 주택공급을 늘려 수요를 분산시킬 필요가 있다. 재건축ㆍ재개발 규제완화,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폐지 등에 국회도 힘을 보태야 할 것이다. 1년 동안 무려 50%나 올랐던 부동산 폭등이 재연되어서는 결코 안 된다.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