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6일 서울 서초구 대한건축학회 건축센터에서 열린 ‘건설 기능ㆍ기술인력 관리 방안’ 세미나 2부 토론에서 (왼쪽부터) 유정호 광운대 건축공학과 교수, 권순욱 성균관대 건설환경공학부, 최은정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 성동수 아이티엠건축사사무소 사장, 정필교 동부건설 팀장이 토론하고 있다. / 사진=전동훈 기자. |
[대한경제=전동훈 기자] 대한건축학회는 한국건설관리학회와 공동으로 26일 대한건축학회 건축센터에서 ‘건설 기능ㆍ기술인력 관리 방안’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심화되는 건설현장의 인력난과 고령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차희성 대한건축학회 산학관위원장 겸 한국건설관리학회 대외협력위원회 위원장(아주대 건축학과 교수)은 개회사를 통해 “최근 건축을 포함한 건설 현장의 국내외 인력 수급 불균형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며 “인력 의존도가 높은 산업 특성상 기능ㆍ기술인력의 선진화된 관리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첫 발표를 맡은 권순욱 성균관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는 ‘건설근로자 기능등급제 제도 개선 방안’을 주제로 현행 기능등급제의 한계점을 지적했다.
권 교수는 경력 위주의 등급 평가 체계가 실효성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문제를 제기하며 건설현장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숙련도 평가 제도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어 최은정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건설기술인 관리 효과적 운영 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날 최 연구위원은 변화하는 건설환경을 분석하며 건설업계가 직면한 구조적 문제점들을 짚었다.
건설기술인 등급체계의 문제점으로는 △등급별 역량에 대한 세부 기준 부재 △법정직무교육과의 연계성 저하 △실제 역량을 갖춘 기술인의 활용이 어려운 구조 △청년층 진입장벽으로 작용하는 현행 경력관리제도 등이 지적됐다.
특히 최 연구위원은 건설업 취업자 비중이 감소 추세에 있음을 지적하며 “해외 주요국의 경우 건설인력 양성 환경 조성을 위해 커리어패스 개발, 단계별 역량체계 마련 등을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요자의 니즈를 반영한 인력 양성을 위해 체계적이고 유기적인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유정호 광운대 건축공학과 교수가 좌장을 맡은 토론에서는 발제자 외 성동수 아이티엠건축사사무소 사장, 정필교 동부건설 팀장이 참여해 ‘청년 기능ㆍ기술인력의 건설업 유입을 위한 대안’, ‘외국인 근로자의 등급체계 부여방안’, ‘건설기술인 수급문제’ 등을 폭넓게 논의했다.
전동훈 기자 jdh@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