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서울시, 민생회복ㆍ소상공인 지원 총력… 2.1조 공급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01-01 11:23:26   폰트크기 변경      


2025년 서울시 중소기업육성자금 융자지원계획.


[대한경제=임성엽 기자]서울시는 중소기업, 소상공인의 경영위기 극복을 위해 올해 총 2조1000억 원 규모의 정책자금(1조9000억원)과 특별보증(2000억원)을 공급한다고 1일 밝혔다.

시는 소상공인을 위해 2000억원 규모 ‘비상경제회복자금’도 신설해 상반기에 조기 지원한다.


이번에 공급하는 자금은 ‘직접 융자금’(고정금리) 2000억원과 ‘시중은행협력자금’(변동금리, 이자차액보전) 1조7000억원, 생계형 소상공인 대상 마이너스통장 ‘안심통장’(특별보증) 2000억원으로 구성했다. 

올해 융자지원 규모는 경영 비용 상승, 경기 침체 장기화로 생계 절벽에 직면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원활한 자금 조달을 위해 올해 대비 350억원 늘렸다. 접수는 2일부터 받는다. 1인당 최대 1000만 원까지 비대면 신청 가능한 ‘안심통장’은 시스템 구축을 거쳐 2월 말 시행할 예정이다.

올해는 장기화된 내수 침체와 소비위축으로 직격탄을 맞은 소상공인을 위해 2000억원 규모 ‘비상경제회복자금’을 신설했다. 지원 대상은 직전 분기ㆍ반기 또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이 10% 이상 감소한 기업과 소상공인이다. 최대 5000만원 한도로 2.0%의 이자 차액을 보전해준다.

경영난에 더해 부채 상환으로 이중고를 겪는 소상공인을 위한 ‘원금 상환유예 제도’도 가동한다. 지원 대상은 지난해 5월 말 이전 서울시 중소기업육성자금 분할 상환 대출을 받은 기업 중 신청기간(25년1월2일~6월30일) 중 분할 상환하는 기업이다. 신청일로부터 최대 6개월까지 원금 상환을 유예한다.

소상공인 힘보탬 프로젝트도 본격 가동한다. 기존 중저신용자(신용평점 839점 이하) 대상 ‘신속드림자금’ 지원을 저소득ㆍ사회적약자까지 확대하고, ‘긴급자영업자금’ 지원 규모를 작년 대비 200억원 증액했다. 대환대출 상품인 ‘희망동행자금’도 지속적으로 운영해 취약계층 지원범위도 넓힌다.

준비된 창업자를 위한 ‘창업기업자금’은 지원 규모를 전년 대비 650억 원 증액한 1000억원을 편성했다. 시는 매출액 등 조건을 충족하지 못해 융자를 받기 어려웠던 초기 창업가 지원을 강화해 탄탄하고 안정적 시작을 돕는다는 계획이다.

일자리창출우수기업자금 규모도 전년 대비 1650억원 늘린 총 2250억원을 공급해 성장가능성 높은 유망기업의 성장을 꾀할 계획이다. ESG자금 규모도 50억원 증액, 그동안 환경산업 분야(E)에 한정됐던 지원 대상을 사회적책임(S), 지배구조(G)까지 확대한다.

서울 소재 중소기업이나 소상공인 중 별도 자격 요건 없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는 ‘성장기반자금’과 ‘경제활성화자금’도 전년 대비 4400억원 증액된 규모로 공급해 더 많은 시민이 지원받도록 한다.

송호재 서울시 민생노동국장은 “올해 정책자금 지원은 취약층과 유망 소상공인으로 정하고, 자금구조 개편과 금리인하로 실질적인 효과를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며 “자금공급을 상반기 신속 추진해 소상공인 금융 부담 극복과 민생경제 활성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임성엽 기자 starleaf@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부동산부
임성엽 기자
starleaf@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