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우리 경제가 지난해 2.1%에 이어 올해 1.8%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에 이어 건설투자가 감소하면서 1%대 저성장이 고착화되는 모양새다.
2일 ‘2025년 경제정책방향’에 따르면 올해 수출은 반도체 등 주력업종 경쟁 심화, 미국 통상정책 전환에 따른 하방요인 등으로 증가세 약화를 예상했다.
내수는 고물가ㆍ고금리 완화 등으로 소비ㆍ설비투자 중심의 완만한 개선이 예상되나, 건설투자는 감소세 지속 가능성을 전망했다.
특히, 우리 경제 성장률을 내리는 주요 원인으로 건설투자가 꼽혔다.
올해 건설투자는 대체로 부진한 흐름이 예상되나, 최근 선행지표 개선 등으로 하반기 이후 점차 부진 완화 가능성을 전망했다.
건설수주는 전년 동기 대비 2023년 상반기 -23.3%, 하반기 -13.6%로 감소폭을 줄이면서 지난해 상반기 2.9% 증가로 전환했다. 건축착공도 전년 동기 대비 2023년 상반기 -38.5%, 하반기 -24.1%에서 지난해 상반기 6.1%로 플러스 반전을 기록했다.
하지만, 아직 낙관하기는 이르다.
토목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3기 신도시 등 주요 공공사업 공사 실적이 반영되면서 감소폭이 일부 완화될 것으로 보이지만, 올해 건축은 아파트 입주물량이 감소하면서 주거용 건물을 중심으로 부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이처럼 건설경기 침체에 따른 저성장 기조는 고용지표에도 악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2022~2023년 장기추세를 크게 상회했던 고용 증가폭은 건설업 감소세가 지속되며 지난해 2분기 이후 조정 흐름을 보였다고 정부는 판단했다.
올해는 생산연령인구 감소폭 확대, 경기흐름 약화 등으로 취업자수 증가폭은 지난해 대비 축소가 전망됐다.
서비스업 고용은 IT(정보통신)ㆍ돌봄수요 확대로 증가세가 지속되겠으나, 건설업ㆍ제조업은 건설 부진ㆍ수출 둔화 영향으로 감소가 예상됐다.
고용률은 여성과 고령층의 경제활동 확대로 높은 수준을 지속할 것으로 봤다.
아울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둔화 흐름을 이어가면서 지난해 2.3%에 이어 1.8%로 내다봤다.
국제유가 등 공급측 물가상승 압력이 크지 않은 가운데, 경기적 요인에 따른 압력도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지정학적 리스크, 기상여건 등에 따른 원자재·농산물 가격 변동성 등 불확실성은 상존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노태영 기자 fact@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