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한 미사일총국이 지난 6일 신형 극초음속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진행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7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ㆍ연합 |
북한 관영매체 조선중앙통신은 전날 신형 극초음속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통신에 따르면 평양시 교외 발사장에서 동북방향으로 발사된 미사일의 극초음속활공비행전투부(탄두)는 음속의 12배에 달하는 속도로 비행했다. 1차 정점 고도 99.8㎞, 2차 정점고도 42.5㎞를 찍으며 비행해 1500㎞계선의 공해상 목표가상수역에 정확히 탄착됐다고 통신은 전했다. 미사일 속도가 마하12까지 달성했다는 점에서 확연한 성능 개선에 성공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우리 군의 분석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번 미사일의 사거리가 1100㎞이며 2차 정점고도는 없었다고 발표했다. 북한의 발표와는 400㎞ 차이가 난다.
반면 전문가들은 고도를 낮춰 기동성을 놓이고 대기권 내 수직하강ㆍ재도약 등을 통한 저고도 변칙 기동으로 최종 낙하지점까지 포착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이번 미사일 개발에 우리 정부가 대북제재 감시 대상에 포함한 탄소섬유 등이 쓰였을 가능성이 높다. 탄두부 재도약 뒤 비행단계에서 2000도에 육박하는 공기마찰열을 극복할 신소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중앙통신은 미사일 발동기동체 제작에는 새로운 탄소섬유 복합 재료가 사용됐다며 “비행 및 유도조종체계에도 이미 축적된 기술들에 토대한 새로운 종합적이며 효과적인 방식이 도입됐다”고 주장했다.
북러 군사협력이 강화된 가운데 러시아가 신소재와 기술을 제공했을 것이란 견해도 적지 않다.
극초음속 미사일은 한국형 미사일방어(KAMD) 등 한미 양국의 대응체계를 교란해 전술핵을 떨어뜨리기 위한 이상적인 무기로 평가된다. 우리나라보다 미국 본토나 일본 오키나와 미군기지 등 미국을 겨냥한 수단으로 해석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미사일 실험 참관 후 “이러한 무기체계를 보유한 나라는 세계적으로 몇 안 될 것”이라며 “국가의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태평양 지역의 임의의 적수들을 믿음직하게 견제하게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강성규 기자 gga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