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실제 차량에 장착된 홀로그래픽 윈드쉴드 투명 디스플레이./사진: 현대모비스 제공 |
[대한경제=강주현 기자] 현대모비스가 세계 최대 정보기술(IT)ㆍ가전 전시회 CES 2025에서 차량 유리창을 디스플레이로 활용하는 신기술을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9일 현대모비스에 따르면 미국 라스베이거스 CES 2025에서 선보인 ‘홀로그래픽 윈드쉴드 투명 디스플레이’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 없이 차량 앞 유리창에 직접 정보를 표시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독일 광학기업 자이스(ZEISS)와 공동 개발했다. 현대모비스는 기아 EV9에 이 기술을 탑재해 실제 작동하는 모습을 시연했다. 차량 앞 유리창 하단에 주행 정보, 내비게이션, 음악 재생 목록 등 다양한 정보가 선명하게 표시됐다.
가장 큰 특징은 기존 계기판이나 센터 디스플레이가 필요 없다는 점이다. 대신 차량 전면 유리창 어디에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HOE(Holographic Optical Element)라는 특수 광학 필름 덕분이다. 이 필름은 빛의 회절 원리를 이용해 프로젝터의 이미지를 운전자와 승객의 눈 위치로 정확히 전달한다.
운전석과 조수석에서 서로 다른 화면을 볼 수 있는 ‘프라이버시 모드’도 구현할 수 있다. 차량 유리창 측면에 필름을 장착하면 스마트폰의 ‘엣지 스크린’처럼 활용할 수도 있다. 현대모비스는 이 기술이 차량 유리창 전체를 자유롭게 디스플레이로 활용할 수 있는 유일한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
이규석 현대모비스 사장(왼쪽)과 독일 자이스 칼 람프레히트 최고경영자가 ‘홀로그래픽 윈드쉴드 투명 디스플레이’ 전시품을 살펴보며 대화를 나누고 있다./사진: 현대모비스 제공 |
현대모비스와 자이스는 올 상반기까지 선행 개발을 완료하고, 이르면 2027년부터 제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양사 최고경영자(CEO)도 관심이 상당하다는 후문이다. 이규석 현대모비스 사장과 칼 람프레히트 자이스 CEO는 CES 현장에서 만나 기술을 직접 살펴보며 향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양사는 추후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이나 증강현실(AR) 디스플레이 분야로도 협력을 확대할 예정이다.
한편 현대모비스는 이번 CES에서 글로벌 완성차 업체 18개사와 30회 이상의 미팅을 진행하며 적극적인 수주 활동을 펼쳤다. 전시장 내 ‘프라이빗존’을 마련해 전동화, 전장, 샤시, 램프 등 16종의 전략 제품을 선보였다. 또한 MIT, 스탠포드, 조지아공대 등 미국 유수 공대 유학생 40여 -명을 초청해 미래 인재 확보에도 나섰다.
이규석 사장은 “시장 선도 기술과 고부가가치 핵심 제품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을 적극 공략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신기술을 선제적으로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
CES 2025 현대모비스 전시 부스를 찾은 관람객들이 실차에 장착된 홀로그래픽 윈드쉴드 투명 디스플레이 기술을 체험하고 있다./사진: 현대모비스 제공 |
 |
CES 2025에 참가한 현대모비스 전시 부스 전경./사진: 현대모비스 제공 |
강주현 기자 kangju07@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