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다음 주 국회 국무회의서 확정
게티이미지뱅크 |
[대한경제=박호수 기자] 당정이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하자, “임시공휴일을 31일로 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정 구청장은 지난 8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기왕 임시공휴일이 만들어진다면 침체된 경기를 활성화하겠다는 취지에 더욱 부합할 수 있도록 날짜를 신중히 지정할 필요가 있다”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그는 “정부가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한다고 발표했는데 지정 과정이 급작스럽게 진행되면서 여러 업계와 종사자들에 업무상 차질이 빚어질 것이 불가피해진 점은 크게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이어 “임시공휴일 지정 배경을 두고도 여러 해석이 엇갈릴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라며 “정부의 취지에 더욱 부합되려면 정부가 발표한 27일보다는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명절 일정을 마치고 주말까지 휴식을 취하며 가족끼리 외식을 하거나 짧은 외출을 다녀올 가능성이 크기에 소비를 촉진해 내수를 진작하겠다는 정부 취지에 더욱 맞아떨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구청장은 “이에 더해 많은 기혼 여성에게는 27일 임시공휴일 지정이 오히려 명절 가사 노동 부담 가중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31일에 몰려 있을 각종 결제와 마감을 해야 할 사무직 노동자들의 부담도 커질 수 있다는 점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 / 사진 : 성동구 제공 |
그는 “경기 부양과 내수 진작을 위해서라도, 더 많은 국민이 명절 끝 피곤함을 회복하고 일상으로 돌아올 재충전의 시간을 온전히 누리기 위해서라도, 이왕 임시공휴일을 지정한다면 아무래도 27일 보다는 31일”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한편, 이 같은 정 구청의 의견이 게재되자 온라인상에서 다수의 공감 댓글이 이어졌다. 누리꾼들은 “원래 명절 지나고 보복 소비가 늘어나기 때문에 명절 뒤로 쉬는 게 소비진작 효과에 더 좋다”, “명전 전이니 며느리들은 어디 못 가는데, 31일은 끝나고 쉬는 거니 너무 좋은 생각이다”, “설 전보다 차례 끝내고 편히 하루 더 쉬는 게 낫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편,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민 여러분께 충분한 휴식 기간을 드리고 국내 여행을 촉진하기 위해 국민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1월 27일 임시공휴일 지정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다음 주로 예정된 국회 국무회의에서 확정되면 1월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된다.
임시공휴일 지정은 내수 부진이 장기화하는 시국에서 계엄과 탄핵 정국, 무안공 참사 등 악재가 겹치며 소비심리가 크게 위축되자 정부가 소비 촉진을 위해 꺼내든 카드로 해석된다.
박호수 기자 lake806@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