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경제=임성엽 기자] 서울시가 드론과 로봇 등 첨단기술로 교량 안전관리체계의 ‘빈틈’을 메우고 있다. 검사 사각지대 해소는 물론 사람이 업무를 진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휴먼에러(Human Error)를 차단해 교량 곳곳을 완벽히 점검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한다는 목표다.
13일 관계기관에 따르면 서울시설공단은 올 하반기부터 한강 교량 점검에 자율비행 기반의 드론 시스템을 운용하기로 했다. 공단은 이를 위해 최근 관련 용역을 발주했고 첫 적용 대상으로 청담대교를 낙점했다.
이는 서울시의 교량 ‘안전관리 체계 고도화’ 계획에 따른 조치다.
현재 서울시 22개 교량 점검 과정에서 ‘고소 점검차’ 없이는 상시적 점검이 불가능한 사각지대가 다수 존재하는 등 점검환경이 열악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시는 고도화 조치를 통해 점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점검의 편의성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고도화 계획은 투트랙으로 진행한다.
먼저 기존 30%인 점검 범위를 내년까지 점검통로 확충과 개선을 통해 90%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나머지 10% 사각지대는 한강교량 상부는 드론으로, 수중구조물 등 교량 하부는 로봇을 활용해 점검을 진행한다는 구상이다.
지금도 드론은 작업자 육안점검 외 부수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사람이 현장에서 직접 조종해야 하기 때문에 점검 시간에 한계가 있고, 작업자 시야를 가릴 경우 세밀한 조종이 어려워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공단은 청담대교 기ㆍ종점부에 드론 이착륙장을 만들고 3차원 자율비행 제어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공단이 지정한 경로를 따라 드론이 스스로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된다.
또한, 지정한 경로를 반복 촬영하면 촬영 정보를 비교해 교량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공단은 자율비행 드론의 점검 데이터를 청담대교 스마트 유지관리 플랫폼과 연계해 통합 관리할 계획이다. 이 플랫폼은 디지털 트윈(Twin) 방식을 적용, 청담대교를 3D 서버상에 똑같이 구현하고, 교량에 부착한 센서 감지량을 서버상에서 원격 조종하는 시스템이다.
현재 잠수부가 직접 육안으로 점검 중인 교량의 수중 하부 점검도 점진적으로 수중 로봇이 대체한다. 시는 수중 무인탐사기를 도입하기로 하고, 수중 드론이나 벽면 부착 이동 로봇 중 작업에 적합한 기종을 검토하고 있다.
무인탐사기를 하부 구조물 안전점검 업무에 적용하면 점검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끌어올 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GPS를 활용한 위치 추적이 가능한 데다 휴식 없이 연속으로 촬영할 수 있는 로봇의 특성상 구조물에 대한 점검시간 증가와 정밀한 파악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임성엽 기자 starleaf@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