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세종 국회의사당, 투명성ㆍ개방성 갖춘 민주주의 상징으로 건립해야”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01-14 16:49:42   폰트크기 변경      
정부 상반기 설계공모 앞두고 건축계 제안 ‘봇물’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국회세종의사당과 국민주권의 공간적 전개’ 토론회에서 참가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 사진=전동훈 기자.


[대한경제=전동훈 기자]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을 앞두고 건축계의 제안이 잇따르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3일 ‘2025년 업무보고’에서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집무실이 들어설 ‘국가상징구역’ 설계안을 통합 국제설계공모를 통해 선정하겠다고 밝혔다.


건립 계획이 구체화하는 가운데 이날(14일) 열린 ‘국회세종의사당과 국민주권의 공간적 전개 토론회’에서는 복합문화공간과 시민광장 등 다양한 건축 방향이 제시됐다. 전문가들은 세종의사당이 단순한 정치 공간이 아닌 시민 참여형 문화공간으로 건립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첫 주제발표를 맡은 안창모 경기대 건축학과 교수는 제헌 국회의사당부터 여의도 국회의사당에 이르는 건축의 역사적 흐름과 맥락을 분석했다.


이어 김기정 호서대 특임교수는 “1919년 이래 대한민국 정치사에 내재된 국민의지를 반영해 건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상한 경상국립대 행정학과 교수는 독일, 호주, 영국의 사례를 들며 시민개방성과 참여성을 실현하는 새로운 개념의 의사당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명주 명지대 건축학과 교수는 의사당과 국민광장을 중심으로 한 공간배치를 제안했다. 이어 국민주권 상징탑, 임시정부 기념비, 기후위기 멸종관 등 다양한 전시시설이 조화롭게 배치된 국민상징구역 조성을 제시했다.


특히 “모든 건축물은 제로에너지 1등급 이상의 국제기준을 선도하는 탄소중립 건축물이 되어야 한다”며 친환경 건축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송재호 국회세종의사당건립위원장이 좌장을 맡은 토론에서 김의영 서울대 교수는 양원제와 의원 정수 증원 가능성을 고려한 미래지향적 설계와 민회가 열릴 수 있는 ‘시민의사당’ 건립을 제안했다.

이상정 경상국립대 명예교수는 시민들의 참여와 의견을 반영한 설계를 강조하며, 역사ㆍ문화ㆍ과학이 어우러진 종합적인 공간 조성 계획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국회세종의사당과 국민주권의 공간적 전개’ 토론회에서 우원식 국회의장이 기념사를 하고 있다. / 사진=전동훈 기자.


정해구 성공회대 초빙교수는 3ㆍ1운동 110주년인 2029년까지 ‘3ㆍ1운동광장’과 ‘민주공화탑’을 국민 성금으로 건립하자고 제안했다.


강준현 국회의원은 사업 추진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제안했으며, 이상기 아시아엔 대표는 50년 후와 통일 한국을 대비한 미래지향적 설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인사말을 통해 “의장 임기가 다하는 2026년 5월 말까지는 설계공모를 마무리해 세종의사당의 청사진을 분명하게 제시하겠다”며 “세종의사당 건립이 정치와 행정, 국민과의 소통을 재정립하며 진정한 민의의 전당으로 거듭나는 과정이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전동훈 기자 jdh@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건설산업부
전동훈 기자
jdh@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