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타당성조사 결과…개최 총 비용 5조
전북, 경제효과 42조원…‘국가 균형발전’
![]() |
오세훈 서울시장이 ‘2024 파리올림픽 출전 서울시 선수단 간담회’에서 선수들과 함께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 사진 : 서울시 제공 |
[대한경제=박호수 기자]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국내 후보 도시 경쟁이 서울특별시와 전북특별자치도 ‘2파전’으로 좁혀졌다. 심시기관인 대한체육회는 지난달 후보 도시 현장실사를 끝내고 본격적인 심사에 절차에 돌입했다.
16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대한체육회는 다음 달 28일 열리는 대의원총회에서 최종 후보 도시를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체육회는 현장실사 결과를 토대로 평가보고서를 작성하고, 오는 24일 국제위원회 심의와 다음 달 17일 이사회 의결을 거친다.
이후 28일 대의원총회에선 후보 도시가 각각 45분 프레젠테이션에 이어 15분 질의응답을 하며, 평가위원회의 조사 결과 보고 직후 대의원들이 무기명 비밀투표를 통해 후보지를 선정한다.
현재 두 도시 모두 국내 최종 후보지로 선정되기 위해 사활을 걸고 있다. 먼저, 1988년에 이어 48년 만에 올림픽 개최를 꿈꾸는 시는 ‘경제올림픽’을 서울만의 차별화한 강점으로 내세웠다.
88년 서울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한 경험과 스포츠시설은 물론 교통·숙박 등 모든 인프라가 잘 갖춰진만큼. 시는 올림픽 개최에 따른 편익이 비용보다 높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시는 전국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기존 경기장을 적극 활용해 최근 올림픽을 치른 나라들과 비교해 절반도 안 되는 비용으로 올림픽을 유치한다는 구상이다.
지난달 25일 시가 발표한 ‘2036 서울올림픽 유치를 위한 사전타당성 조사’에도 이 같은 분석이 담겼다. 한국스포츠과학원의 조사에 따르면, 서울올림픽은 결과 비용편익분석(B/C 분석)이 1.03으로 나오는데, 통상 B/C 비율이 1.00을 넘으면 경제성을 갖춘 것으로 판단한다.
해당 조사에서 2036 서울올림픽 개최에 따른 총비용은 5조833억원, 총편익은 4조4707억원이다. 이는 2000년 이후 개최된 올림픽의 총비용 대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최근에 열린 2024년 파리 올림픽도 개최 비용에만 12조3000억원이 투입됐다.
시는 송파구 올림픽공원 내 ‘88서울올림픽 경기장’, 2026년 리모델링이 완성되는 ‘잠실 올림픽주경기장’, 2032년 조성되는 ‘잠실 스포츠ㆍMICE 복합단지’ 등 기존 시설을 재활용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여기에 광화문ㆍ한강 등 주요 명소에 비치발리볼, 양궁, 스케이트보드 등의 경기장을 임시로 설치하고, 경기도와 인천시, 부산시, 강원도 등 타 시도와 주요 시설물 빌리면 이같은 ‘경제올림픽’이 가능할 것으로 확신한다.
![]() |
2036 하계올림픽 전북유치기원 체육인 한마음대회. / 사진 : 전북특별자치도체육회 제공 |
뒤늦게 올림픽 경쟁에 뛰어든 전북도 열을 올리고 있다. 전북은 지난 2014년 동계 올림픽을 유치하기 위해 무주를 내세웠으나 경쟁을 벌인 강원도 평창에 국내 유치 후보 도시 자리를 내줬던 기억이 있다.
올림픽 개최로 얻을 경제효과가 42조원으로 추산되는 만큼 전북도 이번 기회를 놓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인다.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는 대한체육회 실사단을 상대로 직접 프리젠테이션에도 나섰다. 현재 전북은 광주와 대구ㆍ충청권을 묶은 ‘비수도권 연대’로 경제효과와 국가 균형 발전을 실현한다는 구상이다.
한편, 다음달 국내 후보지로 선정되면 해당 지역은 IOC(국제올림픽위원회)에 유치 의향을 밝히고 본격적인 유치 경쟁 작업에 돌입한다. 현재 해외에서는 인도네시아, 카타르 등 10여개 국가가 유치 경쟁에 뛰어든 상태다.
박호수 기자 lake806@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