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경제=김호윤 기자] 삼성바이오로직스의 2024년 연간 매출이 4조5000억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이로써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 최초로 ‘4조 클럽’에 등극하게 됐다.
22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공시를 통해 지난해 연결기준 연간 매출액은 전년 대비 23% 증가한 4조 5473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19% 오른 1조 3201억원을 기록했다.
![]() |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바이오에피스 연간 실적표 / 사진: 삼성바이오로직스 제공 |
별도 기준으로도 4공장 매출 상승 및 1~3공장 풀가동을 바탕으로 매출액은 19% 증가한 3조 4971억원, 영업이익은 10% 오른 1조 3214억원을 기록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도 바이오시밀러 제품의 글로벌 시장 진출 성과를 확대하며 매출액이 전년 대비 51% 성장한 1조 5377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12% 증가하며 4354억원을 기록했다.
![]() |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바이오에피스 2024년 4분기 실적표 / 사진: 삼성바이오로직스 제공 |
삼성바이오로직스의 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한 1조 2564억원으로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달성했다. 다만 영업이익은 7% 감소한 3257억원을 기록했다.
4분기 별도 기준 매출은 1~3공장 풀가동 및 4공장 매출 상승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9504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CDMO 역량 강화를 위한 투자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6% 감소한 3147억원을 기록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 4분기 매출은 바이오시밀러 제품 판매 확대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한 3974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영업이익은 미래 성장 기반 마련을 위한 연구개발비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8% 감소한 723억원을 기록했다.
이 같은 실적에 따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에도 안정적인 사업 확대를 통해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고 전년 대비 20~25% 성장한 매출 전망치를 공시했다. 올해 매출 전망치는 5조 5705억원(예상 매출범위 내 중위값 기준)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새해 시작과 함께 유럽 소재 제약사와 약 2조원의 역대 최대 규모 수주 계약을 체결하는 등 거침 없는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에는 미국, 유럽, 아시아 등 글로벌 주요 시장에서 1조원 규모의 계약을 잇따라 3건 체결하며, 연 누적 수주 금액 5조원을 돌파했다. 창사 이래 누적 수주 총액은 약 176억 달러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압도적인 생산능력과 뛰어난 품질 경쟁력 등을 바탕으로 글로벌 고객사들과의 파트너십을 지속 강화하고 있다. 현재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상위 20개 제약사 중 총 17곳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다. 앞으로도 고객사와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전세계 환자들에게 필요한 의약품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생산능력, 포트폴리오, 글로벌 거점 등 3대 축 확장 전략을 통해 고객 만족을 극대화하고 성장세를 이어갈 계획이다.
먼저 증가하는 바이오의약품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생산능력 확장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18만L 규모의 5공장을 올해 4월 가동을 목표로 건설 중이다. 5공장 완공 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총 생산 능력은 78만 4000L로 압도적인 생산능력을 보유하게 된다.
포트폴리오 확장에도 투자하고 있다. 지난해 총 5개의 신규 기술 플랫폼 및 맞춤형 서비스 패키지를 출시하는 등 위탁개발(CDO)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차세대 항암제 기술인 항체약물접합체(ADC) 시장에도 선제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12월에는 ADC 전용 생산시설을 성공적으로 완공했으며 2027년 1분기를 목표로 ADC DP 생산 라인을 구축할 계획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올해에도 글로벌 수준의 연구개발 및 커머셜 역량을 바탕으로 지속 성장해 나갈 계획이다. 다국적 제약사 산도스(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및 테바(솔리리스 바이오시밀러)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미국 시장에 신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며 키트루다 바이오시밀러(SB27)는 임상 1상과 3상을 오버랩하는 전략을 통해 개발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김호윤 기자 khy2751@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