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2일(현지시간) 미국 새너제이에 위치한 SAP센터에서 개최된 갤럭시 언팩 2025(Galaxy Unpacked 2025) 행사에서 삼성전자 MX사업부장 노태문 사장이 진정한 AI폰 갤럭시 S25 시리즈를 공개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
![]() |
22일(현지시간) 미국 새너제이에 위치한 SAP센터에서 개최된 상반기 갤럭시 언팩 2025에서 소개된 갤럭시 S25 엣지 티징 이미지 /사진:삼성전자 |
“진짜 AI폰의 시작”…앱 간 연결성 강화
“터치 시대에서 AI 시대로” 패러다임 전환 선언
[대한경제=심화영 기자] “전작이 AI 기능 탑재의 시작이었다면 갤럭시 S25 시리즈는 완성된 AI 아키텍처를 갖춘 스마트폰의 시작입니다.”
삼성전자가 22일(현지시간) 미국 새너제이에서 공개한 갤럭시 S25 시리즈가 스마트폰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통합형 AI 플랫폼을 탑재하며 ‘진정한 AI폰’으로 진화했다는 평가다.
갤럭시 S25의 핵심은 3년간 개발한 통합 AI 플랫폼 ‘One UI 7’(원UI 7)이다. 화면 잠금 해제 없이 기기 제어가 가능한 ‘나우 바(Now Bar)’가 대표 기능이다. 멀티모달 AI를 통해 하나의 음성 명령으로 여러 앱을 연동해 작업을 처리한다.
예를 들어, 좋아하는 스포츠팀 경기 일정을 확인하고 캘린더에 저장하는 경우, 기존 검색과 캘린더 등 여러 개의 앱을 거쳐야 했던 작업을 “다음 주에 있는 ○○팀 경기 일정 찾아서 내 달력에 추가해줘”라는 음성 명령 한번으로 쉽게 실행할 수 있다.
노태문 삼성전자 사장은 “앱 사용과 터치 경험으로 정의됐던 스마트폰 시대에서 AI 에이전트 시대로 전환되는 변곡점”이라고 강조했다.
‘서클 투 서치’는 이미지ㆍ텍스트뿐 아니라 음성 검색까지 지원하도록 진화했다. 새로운 ‘오디오 지우개’ 기능은 영상 속 6가지 소리를 구분해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갤러리 검색도 똑똑해졌다. 날짜나 장소 키워드만 입력하면 AI가 관련 사진을 찾아준다. ‘나우 브리프’는 사용 패턴을 분석해 개인화된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한층 강력해진 S25의 ‘두뇌’ 덕분이다. 퀄컴과 공동개발한 맞춤형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스냅드래곤 8 엘리트’ 칩셋을 탑재했다. 전 세대와 비교해 신경망처리장치(NPU),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성능이 각각 40%, 37%, 30% 향상됐다.
이는 삼성전자가 AI폰 경쟁에서 애플을 따돌리기 위한 승부수라는 평가다. 애플이 지난해 말 시리와 챗GPT 통합을 시작했지만, 아직 제한적인 기능에 그치고 있다. BBC 뉴스 요약 오류로 해당 기능을 중단하는 등 AI 역량에 대한 의구심도 제기된다.
반면 삼성은 구글과 협력해 AI 기능을 AR 글라스, 헤드셋 등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다만 현재는 삼성과 구글의 기본 앱에서만 AI 기능이 지원되는 한계가 있다.
한편 새 시리즈는 내달 7일부터 한국을 포함해 전 세계에 순차 출시되며, 오는 24일부터 내달 3일까지 한국에서 사전 판매를 진행한다. 국내 판매가격은 전 제품을 S24 시리즈와 같은 가격으로 동결했다.
심화영 기자 dorothy@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