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경제=이승윤 기자] 서울특별시와 행정안전부 등이 지난해 가장 우수한 민원행정을 제공한 기관으로 선정됐다.
자료: 국민권익위원회ㆍ행정안전부 |
국민권익위원회와 행안부는 4일 47개 중앙행정기관을 비롯해 기초ㆍ광역자치단체 243곳, 시도교육청 17곳 등 모두 307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민원서비스 종합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평가는 2023년 9월~지난해 8월까지 평가대상 기관의 △민원행정전략ㆍ체계와 △개별민원(법정ㆍ국민신문고ㆍ고충민원) 처리실태 △민원만족도 등 5개 항목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분야별 평가 결과를 종합해 기관 유형별로 최우수 등급인 ‘가등급’(10%)부터 나등급(20%), 다등급(40%), 라등급(20%), 마등급(10%)까지 모두 5등급으로 분류하는 방식이다.
평가 결과 행안부와 기상청, 농촌진흥청, 산림청,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중앙행정기관 5곳과 서울시, 광주광역시, 서울 노원ㆍ동대문ㆍ성동ㆍ중랑구 등 광역ㆍ기초지자체 25곳, 광주ㆍ인천교육청 등 모두 32곳이 가등급에 선정됐다.
서울시는 국토교통부 등의 데이터를 블록체인 기술로 연계한 ‘부동산중개업 종사자 모바일 자격증명 서비스’를 개발해 안전한 부동산 거래환경 조성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행안부는 디지털 시대 전환에 발맞춰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서비스’를 추진해 디지털 신원확인 확산에 기여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반면 대검찰청과 금융위원회, 외교부, 새만금개발청, 해양경찰청 등 중앙행정기관 5곳과 전라남도, 충청북도, 서울 광진ㆍ영등포구 등 지자체 24곳, 강원ㆍ전남교육청 등 모두 31곳은 가장 낮은 마등급을 받았다.
민원서비스 종합평가는 행정기관의 민원서비스 수준을 높이기 위해 정부업무평가의 일환으로 매년 실시된다.
권익위와 행안부는 민원서비스 우수기관과 공적이 높은 민원담당자에게는 정부포상을 실시하고, 낮은 평가를 받은 기관에는 민원서비스 수준 향상을 위한 맞춤형 교육과 자문을 제공하는 등 후속 관리와 지원도 병행할 예정이다.
유철환 권익위원장은 “이번 평가는 고충민원 해결ㆍ예방 노력, 취약계층 민원의 신속한 해소 등에 대한 평가를 강화해 대민서비스 수준을 제고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공정한 평가를 통해 국민이 체감하는 따뜻한 민원서비스를 견인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승윤 기자 leesy@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