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경제=문수아 기자] 해외에서 한국 식품이 인기를 끌면서 반려동물 사료인 ‘펫푸드(Pet Food)’도 덩달아 인기다. 중소기업 중심으로 수십 년간 수출문을 개척한 결과 수출 신기록을 썼고 세계 최대 펫푸드 시장인 미국 공략에도 성공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펫푸드를 차세대 유력 수출 품목으로 키우고자 해외 진출을 지원할 방침이다.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동원F&B는 이달부터 펫푸드 전문 브랜드 ‘뉴트리플랜’ 제품을 미국에 수출하기 시작했다. 수출 품목은 반려묘용 습식 캔 6종이다. 미국 전역 마트, 펫샵 등 7만 개 이상 유통체인과 온라인몰에서 판매한다. 현지 판매액은 연간 300억원 규모로 예상된다.
업계에서는 세계 최대 펫푸드 시장인 미국에 수출하면서 K-펫푸드가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동안 K-펫푸드의 주요 수출국은 일본과 동남아시아였다. 미국은 시장 규모가 크지만, 자국 기반의 글로벌 최대 펫푸드 기업 ‘마스 펫케어’, 스위스의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퓨리나 펫케어’가 전체 시장의 절반 이상을 점유하고 있어 ‘난공불락’으로 여겨졌다.
동원F&B는 1991년 30년 이상 미국 시장을 두드렸다. 1991년 반려묘용 습식 캔을 일본으로 수출하면서 품질을 인정받았다. 식용 참치 캔을 생산하며 쌓은 기술력을 펫푸드에 접목한 게 묘수였다. 직접 어획한 참치를 증기로 쪄서 익힌 후 즉시 캔에 담는 방식으로 신선도를 높였다. 일본을 시작으로 베트남, 홍콩 등 10여 개국에 수출하면서 미국에서도 러브콜을 받는 데 성공했다.
동원F&B는 반려견용 사료 생산설비도 증설해 펫푸드 전반으로 제품군을 확장한다. 수출 품목과 국가를 넓혀 2027년까지 펫푸드 연매출 2000억원을 달성하는 게 목표다.
대한제분의 펫푸드 전문 자회사인 ‘우리와’는 지난해 펫푸드 업체 중 최초로 2년 연속 500만 달러 이상 수출해‘케이푸드플러스(K-Food+) 수출탑’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수출 600만 달러를 돌파하며 처음 100만 달러를 넘은 2014년 이후 6년 만에 6배 이상 성장을 이뤘다. 총 14개 펫푸드 브랜드를 대만,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의 8개국에 수출해 달성한 성과다. 일찍이 미국사료관리협회, 유럽 펫푸드산업연합(FEDIAF) 등 글로벌 품질 기준에 맞춘 것도 주효했다.
하림펫푸드도 해외 공략에 공을 들이고 있다. 2017년 설립 이후 베트남(2021년), 일본(2022년) 등에 차례로 진출했다. 2017년 2억원에서 출발한 매출은 2023년 457억원으로 늘었다. 특히, 사람이 먹을 수 있는 ‘휴먼 그레이드’기준에 충족하는 제품으로 프리미엄 시장을 노린다. 재료와 제조 과정 모두 식품과 같고 수입 통관 과정에서도 식품으로 분류된다.
식품, 펫푸드 전문업체들의 해외 수출은 증가할 전망이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펫푸드 수출액은 1억6090만달러로 전년(1억4980만달러) 대비 7.4% 성장했다. 농림부는 2027년까지 펫푸드 연간 수출액 5억 달러를 목표로 세우고 수출 기업을 지원하고 나섰다. 올해도 태국 등에서 K-펫푸드 박람회를 열고 우수 제품을 알릴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식품, 화장품, 건강기능식품에서 한국 제품은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 품질은 우수하다는 소비 경험이 많이 쌓인 상태”라며 “기능성, 프리미엄 사료 시장과 반려동물 건강관리 용품, 모바일 서비스 등으로 수출 저변이 넓어지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문수아 기자 moon@
As the popularity of Korean food surges overseas, the country’s pet food industry is also seeing a significant boost. After years of pioneering export channels, led primarily by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South Korea has achieved record-breaking pet food exports and successfully entered the world’s largest pet food market—the United States. Recognizing the sector’s potential,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has announced plans to support the industry's global expansion, positioning pet food as a next-generation export powerhouse.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Dongwon F&B has officially launched exports of its premium NutriPlan pet food brand to the U.S. this month. The company is initially exporting six varieties of wet cat food, which will be available in over 70,000 retail stores, pet shops, and e-commerce platforms nationwide. The estimated annual revenue from U.S. sales is expected to reach KRW 30 billion (approximately USD 22.5 million).
Industry experts see this as a watershed moment for the K-pet food sector, which had traditionally focused on Japan and Southeast Asia as key export destinations. While the U.S. pet food market is massive, it has long been considered impenetrable, dominated by global giants like Mars Petcare, the world’s largest pet food manufacturer, and Nestlé’s Purina PetCare, which together control more than half the market share.
Dongwon F&B’s journey to the U.S. market has been a long one—more than three decades in the making. The company first gained international recognition in 1991, when it began exporting wet cat food to Japan. By leveraging its expertise in tuna canning technology, Dongwon innovated a unique steam-cooking process that enhances freshness and nutritional value. This commitment to quality fueled expansion into over ten global markets, including Vietnam and Hong Kong, ultimately paving the way for entry into the U.S.
Looking ahead, Dongwon F&B is ramping up production for dog food and expanding its product portfolio to become a full-range pet food provider. The company aims to reach KRW 200 billion (USD 150 million) in annual pet food revenue by 2027 by diversifying export destinations and product categories.
Other Korean pet food companies are also accelerating their global push. Wooriwa, a pet food subsidiary of Daehan Flour Mills, became the first Korean pet food company to surpass USD 5 million in annual exports for two consecutive years, earning the "K-Food+ Export Tower" award. In 2023, its overseas sales exceeded USD 6 million, marking a sixfold increase since 2014. The company’s 14 pet food brands are now exported to eight South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Taiwan, Vietnam, and Indonesia. Early adoption of global quality certifications, such as those set by the American Association of Feed Control Officials (AAFCO) and the European Pet Food Industry Federation (FEDIAF), played a crucial role in its success.
Meanwhile, Harim Pet Food is doubling down on international expansion. Since its establishment in 2017, the company has entered Vietnam (2021) and Japan (2022), with sales surging from KRW 200 million (USD 150,000) in 2017 to KRW 45.7 billion (USD 34 million) in 2023. Targeting the premium market, Harim specializes in "human-grade" pet food, which meets the same standards as human food in both ingredient sourcing and manufacturing processes. This classification also enables smoother regulatory approvals under food safety laws.
South Korea’s pet food exports are poised for continued growth, driven by strong government support. According to MAFRA, the country’s 2023 pet food exports reached USD 160.9 million, reflecting a 7.4% year-on-year increase. The ministry has set an ambitious target of USD 500 million in annual pet food exports by 2027 and is actively supporting domestic companies in global market entry. As part of this initiative, South Korea will host K-Pet Food trade expos in Thailand and other key export markets to promote premium Korean pet food brands.
An industry insider noted, “Korean food, cosmetics, and health supplements have already established a strong reputation overseas for their affordability and high quality. Consumers now recognize similar value in Korean pet food, and we are seeing significant growth in the premium and functional pet food segments, as well as in pet wellness products and mobile services.”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