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요라나 1(Majorana 1) 양자 프로세서 이미지 /사진:한국MS |
[대한경제=심화영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19일(현지시간) 자체 개발한 첫 양자컴퓨팅 칩 ‘마요라나(Majorana) 1’을 공개하며 양자컴퓨터 개발 경쟁에 본격 뛰어들었다. 지난해 구글이 ‘윌로우’(Willow)를, IBM이 수년간 여러 세대의 양자컴퓨팅 칩을 선보인 데 이어 MS가 가세하면서 양자컴퓨터 시대가 예상보다 빨리 도래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MS의 이번 양자컴퓨팅 칩은 기존과 다른 혁신적 접근이 특징이다. 손바닥 크기의 마요라나 1은 일반적인 초전도 큐비트 대신 ‘위상초전도체’를 활용한 위상적 큐비트로 설계됐다. 위상초전도체는 극저온에서 자기장 조절을 통해 새로운 초전도성 물질 상태가 되는 혁신 재료다. 오류가 잦고 보정이 어려웠던 기존 칩의 단점을 개선했다는 설명이다.
MS는 인듐 비소와 알루미늄 등을 원자 단위로 정교하게 쌓아 이를 구현했다. 현재 8개의 큐비트가 탑재됐으나, 100만개 이상으로 확장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양자컴퓨터 상용화 시기에 대해선 업계 전망이 엇갈린다. MS의 제이슨 잰더 부사장은 “수년 내 상용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고, 구글의 순다르 피차이 CEO도 “5~10년 후 실용적 양자컴퓨터 등장이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실제 구글은 지난해 자사 양자컴퓨터로 현존 최강 슈퍼컴퓨터가 우주 역사보다 오래 걸릴 계산을 5분 만에 해결하는 데 성공했다. 구글 양자 AI 설립자 하트무트 네벤은 “5년 내 상업용 양자컴퓨팅 애플리케이션 출시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는 “유용한 양자컴퓨터 개발까지 20년은 더 걸릴 것”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체탄 나약 MS 퀀텀 하드웨어 부사장은 “백만 큐비트 규모 양자컴퓨터는 단순한 기술적 성취가 아닌 인류가 직면한 가장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열쇠”라고 강조했다.
심화영 기자 dorothy@
“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