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AFP=연합 |
[대한경제=강성규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 달간 유예한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오는 3월4일 예정대로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상호관세’도 강행할 뜻을 재차 시사하면서 글로벌 통상전쟁이 본격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정상회담 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관세 부과 조치 준비가 “현재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미국은 거의 모든 것들을 다른 나라에 이용당해왔다”며 “관세는 계속 부과될 것이고 우리는 많은 부분을 회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는 지난 1일 멕시코와 캐나다산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바 있다. 이는 당초 지난 4일 즉시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캐나다와 멕시코가 국경 단속을 강화하기로 하면서 한 달 유예에 합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캐나다와 멕시코가 국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충분히 행동했다고 보냐’는 질문에는 즉답을 피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캐나다와 멕시코뿐 아니라 많은 나라로부터 매우 나쁜 대우를 받아왔다. 우리는 이용당해 왔다”고 주장했다.
전임 정부를 겨냥해 “지난 오랫동안 (내가 대통령이었던) 4년을 제외하고, 미국 국민이 이런 식으로 이용당하도록 하는 문서에 서명한 사람들은 부끄러워해야 한다”고도 말했다.
아울러 미국은 다른 국가들과 ‘호혜성(reciprocity)’을 추구한다며 “누군가 우리에게 관세를 부과하면, 우리는 그들에게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회담에서 무역 협상에서 일부 공감대를 형성했다면서도, “공정한 경쟁과 원활한 무역, 더 많은 투자를 위한 진정한 약속을 원한다”며 향후 협상을 이어가겠다고 전했다.
트럼프의 이날 ‘엄포’는 한 달 전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요구 수용을 압박하는 강경 카드로 읽히기도 한다.
실제로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이날 멕시코 경제ㆍ재무부 당국자들이 워싱턴에서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잠재적인 관세 도입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블룸버그 통신은 트럼프 행정부 인사들이 멕시코 당국자들과 만나 미국의 25% 관세를 피하려면 멕시코가 중국산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22일(현지시간) 트럼프와 통화에서, 국경 강화 조치 약속 후 캐나다로부터 미국으로 넘어가는 펜타닐이 90% 감소한 사실을 강조했다고 백악관은 전했다. 또 캐나다 국경 책임자가 다음주 미국 워싱턴에서 톰 호먼 백악관 국경 담당 차르를 만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트럼프ㆍ마크롱 대통령은 이날 정상회담에서 종전 후 우크라이나에 유럽 국가들의 평화유지군을 배치하는 방안에 뜻을 모았다.
트럼프는 우크라이나와 협상에서 최대 관심사로 떠오른 희토류 등 핵심광물 협정에 대해 “조만간 체결될 것”이라며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협정에 서명하기 위해 이번주 혹은 다음주에 (미국에) 올 예정”이라고 답했다.
강성규 기자 gga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