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왼쪽 두 번째)이 5일 ‘증권회사 CEO 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 사진=금감원 제공 |
[대한경제=김관주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5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증권회사 최고경영자(CEO) 간담회’를 열고 “업계 일부에서 발생한 불완전판매, 임직원 사익추구 등 불건전 영업행위는 안타까운 부분”이라면서도 “금융당국의 엄정한 대응은 투자자의 신뢰 회복을 위한 ‘필연적인 과정’이었으며, 이러한 노력이 증권산업의 미래 성장에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증권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모험자본 공급 역할 강화 △디지털 전환 및 기술 혁신 △자본시장 선진화 △투자자 신뢰 회복 등을 증권사 CEO에게 주문했다.
그는 “모험자본 공급을 통해 혁신성장을 견인하는 ‘증권사 본연의 역할’에 더욱 충실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단기수익 중심의 경영 관행에서 벗어나 신(新) 산업분야 발굴, 투자방식 확대, 장기적 관점의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 등 지속 가능한 투자전략을 적극 실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관계부처와 함께 모험자본 공급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을 이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 원장은 디지털 전환과 기술 혁신을 통해 증권산업 경쟁력을 근본적으로 강화해야 한다고 봤다. 현재 국내 증권사가 자본규모와 수익성 측면에서 글로벌 투자은행(IB) 대비 열세에 있다는 판단에서다. 그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신기술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디지털 금융 인프라를 고도화하는 한편, 고부가가치 IB 업무 역량을 강화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모색함으로써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며 “이를 뒷받침할 충분한 자기자본 확충과 리스크관리 역량 강화는 필수적인 요소”라고 설명했다.
자본시장 선진화도 흔들림 없이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원장은 “기업과 주주 간 투명한 소통은 투자자 신뢰를 구축하는 중요한 과정”이라며 “기업은 의사결정 과정에 주주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해 책임 경영을 실천하고, 증권업계는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동시에 기관투자자로서의 견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주시기 바란다”고 했다. 금감원은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통해 주주이익 보호를 위한 제도적 정비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마지막으로 이 원장은 투자자 신뢰를 언급했다. 내부통제 실패는 개별 금융회사의 문제에 그치지 않고 금융시장의 신뢰를 무너뜨리는 결과를 초래하며, 신뢰를 잃은 금융시장은 성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는 “최근 투자자의 해외 직접투자 확대와 증권업계의 자산관리 부문 성장 정체에 대해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며 “증권업계에도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는 만큼, 증권업 ‘고유의 업무 특성’을 반영해 책임과 역할을 명확히 하고 투자자보호 강화, 상시점검 체계 마련 등 내부통제 시스템을 정교하게 구축해야 한다”고 했다.
이날 간담회에선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과 24개 주요 증권사 CEO가 참석했다. 이들은 이 원장에게 모험자본 공급 확대를 위해 초대형 IB의 역할 강화와 발행어음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AI 기반 혁신적 자산관리 서비스 도입과 함께, 법인 지급결제 허용 등 증권사 업무범위 확대 필요성도 제안했다.
김관주 기자 punch@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