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배터리 2025’ 개막
이석희 SK온 사장 대신 찾은 박기수 부사장 “LFP제품 개발 속도”
‘비상경영’ 포스코퓨처엠 엄기천 사장 “피앤오케미칼 등 부진 사업 정리”
최문호 에코프로비엠 대표 “헝가리공장 연내 상업생산 돌입”
![]() |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 겸 한국배터리산업협회장이 5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2025’에서 기자단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 이계풍 기자 |
[대한경제=이계풍 기자]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대표이사 사장 겸 한국배터리산업협회장은 5일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과 관련, “미국에 이미 많은 공장을 갖고 있어 선진입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사장은 이날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5’ 개막 전 취재진과 만나 “미국 신정부의 정책은 근본적으로 미국 내 생산을 장려하는 것으로 이해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사장은 배터리 업황의 반등 시점에 대해 “1분기나 상반기 정도가 저점이 될 것으로 본다”며 “투자는 효율적인 방향으로 집행하는 기조를 유지하면서 진행할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 장기화에 대해 “수요가 줄고 있고 여러 변수가 많아 시장이 정리되고 수요가 늘어날 때를 대비해 잘 준비해야 하는 시간”이라고 해석했다.
![]() |
최주선 삼성SDI 사장. 사진: 이계풍 기자 |
최주선 삼성SDI 사장은 이번 전시회에서 공개한 차세대 배터리 46파이(지름 46㎜) 배터리에 대해 “고객을 확보했다”며 “현재 샘플도 제출했고, 곧 양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했다.
최 사장은 향후 전망에 대해 “캐즘은 내년 상반기까지 지속될 것 같고, 삼성SDI는 올해 1분기를 저점으로 2분기부터는 점차 회복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희망을 갖고 하반기도 분발하겠다”고 말했다.
미국의 유럽연합(EU) 관세 부과 임박에 대해선 “헝가리 공장은 전방 수요 악화로 이미 어려움이 있어서, 피해가 제한적”이라고 답했다. 지난해 밝힌 북미 단독 공장 건설과 관련해선 “금년에 수요가 많이 악화되서 보수적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 |
박기수 SK온 부사장. 사진: 이계풍 기자 |
해외 출장길에 오른 이석희 SK온 사장을 대신해 현장을 찾은 박기수 R&D본부장(부사장)은 최근 회사가 집중하고 있는 각형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개발과 관련해 “현재 개발은 완료된 상황이고 양산을 위해 최대한 스피드업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본부장은 46파이 배터리도 개발을 마치고 양산 준비 중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SK엔무브와 공동 개발 중인 전기차용 액침냉각 기술과 관련해선 “냉각 성능이 아주 우수하고, 열폭주 현상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라며 “개발까지 약 2년이 걸릴 것”이라고 했다.
![]() |
엄기천 포스코퓨처엠 사장. 사진: 인터배터리 기자단 제공 |
최근 비상경영에 돌입한 포스코퓨처엠의 엄기천 사장은 “캐즘 때문에 수요는 많이 줄었지만, 최근 탈중국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완성차 업체들이 러브콜을 많이 보내고 있다”며 “음극재, 양극재를 같이하는 밸류 체인이 장점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구미 양극재 공장 이후 추가적인 매각이나 사업 포트폴리오 조정 계획을 묻는 질문에는 “피앤오케미칼 등 수익이 안나는 사업들을 정리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 |
최문호 에코프로비엠 대표. 사진: 이계풍 기자 |
최문호 에코프로비엠 대표는 3년 전부터 개발 중인 황화물계 전고체 전해질에 대해 “현재 파일럿 규모에서 과제 성과가 잘 나고 있어 내년부터 양산에 돌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올해 준공을 앞둔 헝가리 공장과 관련해 “3개 라인 기준으로 5만4000t 정도의 캐파(생산능력)를 가지고 있다. 현재 시운전 중이고 시운전 검증이 끝나면 연말부터 상업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계풍 기자 kplee@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