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홈플러스 본사. /사진: 홈플러스 제공 |
[대한경제=문수아 기자] 홈플러스가 4일 기업회생절차를 밟게 되면서 운영 주체인 사모펀드 MBK파트너스의 방만ㆍ부실 경영 등에 관한 비난이 쏟아지자 관련 사실을 해명하고 나섰다.
홈플러스는 5일 설명자료를 내고 MBK파트너스에 인수된 이후 기업 운영 방식, 재무 구조에 관한 사실을 설명했다.
우선 홈플러스는 MBK파트너스가 2015년 인수할 당시 차입금(인수 금융) 규모가 4조3000억원에 달한다는 주장과 달리 실제 조달된 차입금은 2조7000억원이라고 바로 잡았다. MBK파트너스와 공동투자자가 투자한 자금은 총 3조2000억 원이다.
당시 홈플러스 자체 부채는 약 2조원이었다. 여기에는 기존 대주주였던 테스코로부터 고금리로 차입한 1조3000억원과 단기 운전자금 7000억원이 포함된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MBK파트너스는 인수 후 테스코의 고금리 차입금을 국내 금융기관 대출로 전환했고, 운전자금 차입도 유지해 왔다”며 “인수를 위해 새롭게 조달한 차입금이 4조3000억 원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
기업가치와 투자금액이 혼동되는 문제도 바로 잡았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인수 당시 홈플러스의 기업가치(Enterprise Value)는 약 7조원으로 기존 차입금까지 포함한 평가액일 뿐, 인수에 투입한 총 투자금액과 다르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일각에서 MBK파트너스가 배당으로 투자금을 회수한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해명했다. 우선주 투자자들에게는 연 100~300억 원의 배당이 지급됐는데, 7000억원 규모의 우선주 투자금을 고려하면 제한적인 수준이다. MBK파트너스가 보유한 후순위 보통주는 배당을 받은 적이 없다는 게 홈플러스 측의 설명이다.
자산유동화와 폐점 역시 투자금 회수 목적이 아닌 성장을 위한 전략적 선택이었다는 입장이다.
2018년부터 16개 점포를 폐점했는데, 이 중 3곳은 재개발 후 다시 입점할 예정이다. 6곳은 만성적자 또는 임대인이 계약 갱신을 거부하면서 폐점했다. 투자 재원을 마련하고 재무구조를 개선할 목적으로 매각한 곳은 10개 점포다. 같은 기간 이마트와 롯데마트도 유사한 수준으로 점포를 정리했다는 게 홈플러스의 입장이다.
이 과정에서 직원들의 고용을 100% 보장했고, 새 근무처에 적응할 수 있도록 고용안정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인위적인 인력 구조조정은 없었고, 정년퇴직과 자연 감소가 발생한 것”이라며 “최근 3년간 이마트는 1855명, 롯데마트는 967명이 줄었지만 홈플러스는 661명이 감소해 가장 적었다”고 말했다.
홈플러스는 실적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 유통 규제와 급성장한 온라인 시장을 꼽았다. 대형마트 의무휴업 규제 영향으로 연간 1조원의 매출 손실이 발생했고, 영업시간 외 배송 금지 조치로 온라인에 고객을 뺏겼다는 것이다. 팬데믹 시기에 온라인이 급성장한 반면 2021년과 2022년 각각 5400억원, 8200억원의 매출 감소가 발생했다. 정부의 재난지원금, 생활지원금도 대형마트에서는 사용할 수 없어 월 평균 매출이 15% 감소하기도 했다.
문수아 기자 moon@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