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경쟁력 핵심은 연결성”
서울항 등 ‘국제 해양관광’ 청사진 제시
![]() |
오세훈 서울시장이 국내외 해양관광네트워크 구축 관련 ‘서울과 여수, 물길을 이어 미래로 가다’ 비전을 직접 발표하고 있다. / 사진 : 서울시 제공 |
[대한경제=박호수 기자] “도시 경쟁력의 핵심 요소는 바로 바다와의 연결성입니다. (중략) 이제 한강은 서울과 대한민국의 새 길을 여는 중심이 될 것입니다.”
앞으로 여의도 서울항에서 중국과 일본을 갈 수 있는 뱃길이 조성된다. 서울시가 한강에서 시작해 전남과 여수는 물론 중국과 일본까지 이어지는 새로운 해양관광 루트 구축에 나선다고 7일 밝혔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7일 서울시청에서 ‘서울과 여수, 물길을 이어 미래로 가다’ 프로젝트를 발표하며 “2035년에는 서울항을 통해 중국의 다롄, 칭다오, 옌타이 그리고 일본 후쿠오카, 오사카 등까지 이어지는 국제 네트워크를 형성하겠다”라고 말했다.
오 시장은 이날 한강의 물길을 열게 될 새로운 수상교통 수단 ‘한강버스’를 시작으로 서해뱃길 청사진 등을 발표했다.
먼저 시는 여의도에서 배를 타고 아라뱃길을 따라 팔미도, 덕적도 등 서해의 보석같은 섬을 관광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 |
대형유람선 노선도. / 사진 : 서울시 제공 |
이를 위해 올해 여름 운영 예정인 연안크루즈(대형유람선)가 정박할 수 있는 ‘여의도 유람선터미널’ 조성과 1000tㆍ600t급 유람선 운항으로 서해뱃길 기반을 마련한다. 이어 여의도 마포대교 남단 서울항을 통해 여의도에서 출발한 배가 서해, 남해, 동해를 누비고 나아가 중국이나 일본까지 뻗어나갈 수 있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구체적으로 2030년까지 5000t 이하 여객선이 정박 가능한 ‘국내항’을 연결하고, 2035년까지는 ‘국제항’을 조성한다.
오 시장은 “비록 많이 난관에 부딪히고 시간도 꽤 오래 걸리겠지만, 아무 것도 하지 않으면 아무 일도 벌어지지 않는다”며 “지금부터 차근차근 준비해 거대한 해양 도시의 꿈을 현실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2026년 여수세계섬박람회는 한강에서 시작된 서울시 해양 관련의 꿈이 실현되는 첫 무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시는 전남 여수와 ‘2026 여수 세계섬박람회’ 협력 지원 업무협약도 맺었다.
세계섬박람회는 섬의 매력을 공유하고 섬의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는 국제 박람회다. 이번에는 여수 돌산읍 진모지구를 중심으로 개도, 금오도 등지에서 2026년 9월 5일부터 11월 4일까지 61일간 진행된다. 30개국이 참여하고 300만명 이상의 관람객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
협약 이후 시는 박람회 사전 홍보와 공동마케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박람회를 계기로 섬관광 활성화 방안도 지속적으로 마련해 나간다.
서울시청 앞 ‘서울도시건축전시관’ 내 7월 조성 예정인 지역관광안테나숍에 ‘여수 세계섬박람회’ 홍보 팝업존도 마련한다.
서울~여수 연계 관광상품 개발도 적극적으로 추진해 상생관광도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 서울 소재 인바운드여행사 대상 ‘2026 서울시 우수관광상품 공모전’ 개최시 서울~여수 연계상품을 우대하고, 시와 협약을 맺은 해외여행사도 연계상품개발 시 지원할 예정이다.
오 시장은 “여수세계섬박람회는 해양도시 서울의 미래를 현실로 만들기 위한 중요한 기점이자 대한민국 과제인 지역 상생을 해결하기 위한 연결점”이라며 “도로, 철도, 항공에 물길을 더해 서울의 구매력과 서울로 모이는 관광객을 대한민국 전역으로 확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호수 기자 lake806@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