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경제=김현희 기자] 은행권이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로 인해 피해받은 소상공인 협력업체 지원에 나서고 있다. 우리은행은 긴급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다른 시중은행들은 홈플러스와 거래업체 에 대한 규모를 파악한 후에 전체적인 지원 규모를 확정할 계획이다.
우리은행은 7일 홈플러스 법정관리 신청으로 거래대금을 제대로 받지 못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협력업체에 대해 긴급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기업당 최대 5억원 긴급신규자금 지원에 이어 대출감액 없이 대출 기간을 연장해주고 수출환어음 부도처리 기간을 유예연장해주기로 했다. 또 금리우대 및 수수료 감면 등으로 신속하게 필요자금을 지원한다.
하나은행도 이날 홈플러스 법정관리 관련 피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을 위한 긴급금융지원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하나은행은 △기업당 최대 5억원 이내의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 △원금 상환 없이 최대 1년 범위 내 기업대출 만기 연장 △최장 6개월 이내 분할 상환금 유예 △최대 1.3% 범위 내 금리 우대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다른 시중은행들은 홈플러스 거래업체들 중 피해 규모가 얼마인지 파악한 후 지원 방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대형 유통업체와 거래하는 업체들이 수백개 이상이기 때문에 피해규모가 파악돼야 지원 규모를 확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은행권이 적극 나서려는 이유는 소상공인 지원 확대 차원도 있지만 홈플러스의 법정관리 문제로 마트에 입점했던 중소업체들이 정산지연에 몰린 상황 때문이다. 대금 지급이 늦어 자금회전이 맞지 않으면 운영 자체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은행 대출까지 연체되는 악순환에 직면하고 은행도 부실여신이 확대되는 상황이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일시적인 자금난에 봉착한 거래업체들을 지원해 기업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하는 게 우선이라는 것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홈플러스 법정관리 관련 거래업체들의 자금난이 우려되는 만큼 지원대책을 강구 중인데, 수백개의 업체 규모를 파악해야 전체 지원 규모를 확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일부 대기업 식품업체와 가전업체들은 홈플러스와의 거래를 중단하거나 납품을 줄이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김현희 기자 maru@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