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영수 공군 참모총장이 10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열린 공군 KF-16 전투기 오폭사건 기자회견에서 사과한 뒤 고개 숙여 인사하고 있다. /연합 |
[대한경제=강성규 기자] 경기도 포천에서 발생한 전투기 민가 오폭 사고는 조종사부터 군 지휘관까지 군기강 해이와 무사안일주의가 부른 총체적 인재로 드러났다.
10일 공군이 발표한 전투기 오폭 사고 중간조사결과에 따르면, 사고를 낸 전투기 2대 중 KF-16 1번기의 조종사는 좌표를 오입력했으며, 2번기 조종사는 정확한 좌표를 입력했지만 동시 투하를 위해 밀집대형 유지에만 집중하다 1번기와 같은 사고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비행경로와 표적지역 지형이 사전 훈련 때와 약간 다르다고 느꼈으나, 정해진 탄착시각(TOT)을 맞추느라 조급해져 표적을 정확히 육안으로 확인하지 못했음에도 ‘표적 확인’이라고 보고하고 폭탄을 투하한 것으로 조사됐다.
훈련 전 3단계에 걸친 확인절차도 게을리했다. 조종사들은 통상적으로 △비행임무계획장비(JMPS)를 활용한 비행 준비 과정 △비행자료전송장치(DTC)를 전투기에 로딩한 후 이륙 전 항공기 점검 과정 △사격 지점에서 표적 육안 확인 과정 등 확인 절차를 거친다.
조종사들은 훈련 전날인 5일 JMPS에 좌표를 입력했다. 1번기 조종사가 경로 좌표를 불러주고 2번기 조종사가 1ㆍ2번기 JMPS에 좌표를 입력하는 식으로 진행됐다. 이때 1번기 조종사가 표적 좌표 중 위도 좌표 하나를 잘못 호명했거나 2번 조종사가 실수로 버튼을 잘못 눌러 JMPS에 잘못된 좌표가 입력된 것으로 확인됐다.
훈련 당일 두 조종사는 JMPS에 오입력된 좌표를 DTC에 담은 후 전투기 조종석 내 슬롯에 저장했는데, 이때 2번기 DTC에 장비 오류가 생겨 2번기 조종사가 수동으로 정확한 표적 좌표를 직접 입력했다.
이 때문에 1번기는 최종적으로 잘못된 표적 좌표가 입력됐지만 2번기엔 정확한 표적 좌표가 입력됐다고 설명했다. 이륙 전 최종 점검을 거쳤지만 1번기 조종사는 입력 실수를 알아차리지 못했다.
두 조종사는 폭탄 투하 후 2분 뒤인 오전 10시6분쯤 서로의 상황을 확인하고 나서야 좌표 오입력 상황을 인지했다. 이후 오전 10시7분쯤 중앙방공통제소(MCRC)에 이 사실을 통보한 후 오전 10시43분쯤 군산기지로 귀환했다.
부대장과 지휘관들의 감독과 지휘 과정에도 문제점이 드러났다.
공군은 부대장이 △임무편조의 비행기록장치 확인 등을 통한 사격편조의 문제점 파악 △표적브리핑 확인 절차 등 세부적 비행준비상태 확인 및 감독 △사전에 실무장 계획서에 대한 임무 조종사 보고와 검토 등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작전 수행 전 담당 조종사가 보고하는 실무장 계획서를 군 지휘부가 검토하는 체계가 공군 내부에 마련돼 있음에도 해당 조치가 시행되지 않았다는 사실도 새롭게 드러났다.
전대장은 상부 지시와 연계한 안전 지시사항을 하달하는 등 전반적인 지휘관리 업무를 수행해야 하지만, 훈련계획 및 실무장 사격 계획서 등에 대해선 제대로 검토하지 않은채 안전 관련 업무를 대대장에게 위임했다.
대대장 역시 일반적인 안전 사항만 강조했을 뿐 실무장 사격에 대해 세밀한 지도 감독은 진행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공군은 재발 방지를 위해 ‘교차 검증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했다. 공군은 “현재 수행 중인 표적 좌표 확인절차에 더해 최종공격단계 진입 전 편조 간 표적 좌표를 상호 확인하는 절차와 MCRC에 실무장 전담 통제사를 지정해 임무 편조와 표적 좌표를 확인하는 절차를 추가하는 등 실무장 표적 좌표 중복확인 절차를 보완하고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강성규 기자 gga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