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거복지 개선 위한 지방분권형 매입임대주택 필요해 ”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03-11 15:59:55   폰트크기 변경      

변창흠 세종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교수가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사진 = 이지윤 기자 
[대한경제=이지윤 기자] 주거복지 개선을 위해 지방분권을 촉진할 수 있도록 중앙·지방 정부와 공기업, 지역사회단체의 협력 및 제도개선을 강화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특히 지방권역 매입임대주택 공급을 위해 지방정부가 주도적으로 주거복지를 실현할 수 있도록 제도가 손질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강조됐다.

11일 박용갑, 염태영, 이연희, 황운하 국회의원을 비롯해 주거권네트워크, 한국도시연구소,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등이 공동으로 주최한 ‘지방정부와 중앙정부가 함께 가는 주거복지의 새로운 길’ 세미나에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관련 기관들의 협력을 통한 국민 주거권 보장 실질적 방안 모색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이날 기조강연과 좌장을 맡은 변창흠 세종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교수(전 국토교통부 장관)는 “중앙정부 주도의 주거복지 제도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중심의 주거복지 집행 관행, 지자체 주거복지 거버넌스 및 관심 부족 등이 지방분권형 주거복지를 불가능하게 한다”며 지방분권형 주거복지체계 제도개선 과제를 짚었다.

변 교수는 “주거복지의 지방분권화를 위해서는 지자체별 주거복지 기본 조례 제정을 의무화하고 주거실태조사 등을 통해 지자체별 주거복지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동시에 지방주도형 주거복지를 위한 기반 확충(△자치단체장과 주택지방공사에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선정 권한 부여 △지자체 공공임대주택 공급주체 지원 확대 △주거복지서비스 공급과 관리 위한 제도개선), 지자체 주거복지센터 역할 확대 및 시·군·구 주거복지센터 설치 의무화를 제안했다.

이 외에도 매입임대주택을 통한 주거복합 플랫폼 구축과 매입임대주택 사업실행모델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와 연계해 이번 토론회에서는 오랫동안 중앙정부의 주도 아래 이뤄졌던 매입임대주택 공급 사업을 지방정부가 함께 주도해 지역 특성에 맞는 주거복지를 실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먼저 송재만 전주시 공영개발과 과장은 실제 전주시에서 나왔던 청년매입임대주택 공급사례를 언급했다.

송 과장은 “전주시는 시 내 주요대학 기숙사 수용률이 타지역에 비해 낮고 청년 1인 가구수가 증가하고 있는 등 진주시 상황에 맞춰 저렴한 양질의 주거공간 마련을 위한 ‘청년매입임대주택 공급사업’을 추진하게 됐다”며 “청년층에 대한 주택공급 확대에 필요한 매입비 국비 보조율 상향(45%→60%)이 필요하고 현재 호당 1억원인 국토부 매입비 지원단가가 현실에 맞게 조정돼야 한다. 지방비 부담 증가에 따른 국비 지원도 절실하다”고 설명했다.

이재혁 경상북도개발공사 사장도 “지역 맞춤형 공공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지역 수요 기반 주택계획 수립 및 공급 등에 대한 지역 자율권 확대와 정부 정책지원 강화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사장은 “최근 3년간 매입 임대주택 11만8000호 공급 중 지방권은 1만4000호로 단 11.9%에 불과했고, 특히 지방권역의 지방공사 매입주택 공급은 1% 미만이었다”며 “주거복지 강화를 위해 정부 정책으로 매입 임대주택 공급이 추진되나 대부분이 수도권과 LH를 중심으로 집중돼 지방권·지방공사 매입주택 공급이 미미하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그는 “매입주택 보조금 제도개선, 지역 수요에 맞는 맞춤형 주택공급, 지방공사 참여 확대 기대를 위한 차별적 재정지원 제도개선 선행 등 각 지역에서 체감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이지윤 기자 im276@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부동산부
이지윤 기자
im276@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