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 한 달 만에 도로 증가
은행ㆍ2금융권, 3.3조↑ㆍ1조↑
![]() |
표=한국은행 제공. |
[대한경제=김봉정 기자] 지난달 은행권이 가계대출을 재개하고 신학기 이사수요가 겹치면서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4조원 넘게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이후 서울 아파트 가격과 거래량이 급증하면서 향후 가계대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도 높아지고 있다.
1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 2월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전월 대비 3조3000억원 증가한 1143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4000억원)부터 올해 1월(-5000억원)까지 두 달 연속 감소세를 기록한 후 석 달 만에 반등했다.
대출별로 보면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907조7000억원)이 전월(+1조7000억원) 대비 2배 확대돼 3조5000억원 증가했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235조1000억원)은 2000억원 감소했다.
금융당국이 공개한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전 금융권의 2월 가계대출 잔액(1672조원)은 전월 대비 4조3000억원 늘었다. 지난 1월(-9000억원) 10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한 뒤 한 달 만에 다시 반등한 것이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3조3000억원)과 2금융권(+1조원)이 모두 증가했고, 2금융권 중에선 상호금융권(+8000억원)의 증가 폭이 두드러졌다.
대출 종류별로는 금융권 주택담보대출이 한 달 사이 5조원 늘어 전월(+3조2000억원)보다 증가 폭이 확대됐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6000억원 줄었지만, 1월(-4조1000억원)과 비교해 감소 폭이 축소됐다.
박민철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지난달엔 신학기 이사수요 등으로 주택 관련 대출이 전반적으로 증가했다”며 “1월의 설 연휴를 고려해 증가 폭을 평균으로 나누면 가계대출은 1조원 중후반 정도 증가했다. 아직까진 지난해 하반기 이후 가계대출 둔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가계대출 전망에 대해선 “토허제 해제 이후 서울 아파트 가격과 거래량이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증가하는 모습”이라며 “늘어난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시차를 두고 가계대출 증가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은은 토허제 해제의 영향이 지속될 기간과 수준, 여타 지역으로의 확산 범위 등이 크게 달라질 수 있기에 향후 가계대출 증가세는 불확실성이 굉장히 높다고 짚었다.
이에 정부와 함께 주택시장 상황, 금융기관의 대출 취급 행태 등 가계부채 불안요인을 예의주시하겠다는 입장이다.
한편, 은행의 기업대출도 지난달 3조5000억원 늘어 잔액 기준 1326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전월(+7조8000억원) 대비 증가 폭이 절반 이상 감소했다.
박 차장은 “하반기부터 트럼프 행정부 출범 등 글로벌 불확실성이 증가하면서 기업들의 자금 조달 규모가 둔화되고 있다”며 “지난 1월 계절적 요인으로 증가했다가 2월에 다시 폭이 줄어들었고 전반적으로 기업들의 자금수요가 크게 회복되지 못했다”고 했다.
기업별로 보면 대기업대출은 (+6조1000억원→+4000억원)은 전월 일시 차입했던 자금이 상환되면서 증가규모가 크게 축소됐다.
중소기업대출은 일부 은행이 정책성 대출 취급을 확대하면서 중소법인을 중심으로 3조1000억원 늘어 전월(+1조8000원)보다 증가 폭이 확대됐다.
김봉정 기자 space02@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