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경제=김호윤 기자]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이 홈플러스 기업회생 절차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 납품업체를 위해 사재를 출연하기로 결정했다.
16일 홈플러스 주주사인 사모펀드(PEF) 운용사 MBK파트너스 입장문을 통해 “홈플러스 회생절차와 관련된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이라며 “김병주 회장이 특히 어려움이 예상되는 소상공인 거래처에 신속하게 결제대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재정 지원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 |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 사진:MBK파트너스 제공 |
다만 구체적인 출연 규모와 방식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앞서 홈플러스는 지난달 말 신용등급 하락 이후 단기자금시장에서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자 지난 4일 돌연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고 같은 날 개시 결정을 받았다. 이후 홈플러스 영업 정상화에 대한 의심이 확산하며 협력업체들은 정산이 늦어지고 있다는 불만을 호소했고 채권자들 사이에선 최대주주가 자구 노력 없이 채무 탕감을 노리고 회생절차를 신청했다며 반발 기류가 일었다.
업계에서는 이번 김 회장의 사재 출연 결정이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신청 이후 불거진 납품업체와 투자자들의 불안과 반발을 진정시키기 위한 조치로 분석하고 있다.
그러면서 MBK파트너스는 “홈플러스의 회생절차로 인해 임직원들과 여러 이해관계자에게 심려를 끼치게 된 점 깊이 사과드린다”며 “홈플러스가 회생절차를 빠르게 졸업하고 다시 정상 궤도로 오를 수 있도록 최선의 지원과 노력을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MBK파트너스는 이번 기업회생절차 신청이 불가피한 선택이었음을 재차 설명했다.
MBK파트너스 “1만9000여 명의 홈플러스 임직원과 임차점포, 납품업체들을 포함한 6000여 개의 상거래처들이 정상적으로 영업활동을 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 무엇인지 강구해야 했다”며 “갑작스러운 유동성 위기로 홈플러스가 부도나기 전에 선제적으로 정상화를 위한 조치를 취해야 했고 그 방법은 회생절차밖에 없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홈플러스 카드대금채권을 유동화한 전자단기사채(ABSTB)와 관련해서는 “매입채무유동화 관련 채권자들을 포함한 모든 채권자들과 홈플러스 간 협의가 원만히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면서 MBK파트너스는 “주주사로서, 투자운영사로서 MBK파트너스에 대한 비판과 질책을 겸허히 받아들이며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면서 “홈플러스가 조속히 정상화될 수 있도록 격려와 성원을 간곡히 요청드린다”고 전했다.
김호윤 기자 khy2751@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