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K뷰티+인플루언서...'크리에노믹스' 급부상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03-18 05:00:42   폰트크기 변경      
[K-뷰티 인플루언서, 크리에노믹스 중심에 서다] ①

크리에이터 선정제품 전면에 내세워

더현대서울, 구독자 81만명 '민스코'

셀렉트스토어 팝업 26일까지 운영

같은 MCN기업 레페리의 '레오제이'

팝업 대흥행...외국인 방문객도 북적


서울 여의도 더현대서울에서 진행 중인 뷰티 인플루언서 민스코의 '셀렉트 스토어' 모습./사진=레페리

[대한경제=오진주 기자] # 뷰티 인플루언서 레오제이는 유튜브 구독자 140만명을 보유한 국내 첫 남성뷰티 메가 크리에이터다. 그는 배우 한예슬이 먼저 연락해 협업할 정도로 ‘연예인의 연예인’으로 꼽힌다.

과거 대기업의 화장품 광고는 유명 여자 연예인의 전유물이었다. 아름다운 여배우가 들고 나온 제품은 수억원의 매출을 올리는 베스트셀러에 등극하기도 했다.

전세계가 K-뷰티에 빠진 지금 상황은 역전됐다. 코로나19를 겪으며 유튜브와 틱톡 같은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전세계인이 K-뷰티를 접하게 됐고, 그 가운데에는 뷰티 인플루언서들이 있다. 많게는 한 번 방송에 수십억원의 매출을 일으키는 이들은 이제 디토(Ditto, 유명인의 취향을 따라 구매하는) 소비를 넘어 ‘크리에노믹스(크리에이터+이코노믹스, 창작자 경제)’의 중심에 섰다.

오는 26일까지 서울 여의도 더현대서울에서는 뷰티 인플루언서 민스코의 ‘셀렉트 스토어’ 팝업이 열린다. 민스코는 MCN(다중채널네트워크) 기업 레페리에 소속된 인플루언서다. 그는 구독자와 팔로워 81만명을 보유하고 있다.

앞서 레페리는 지난해 10월 서울 성수동에서 첫 번째 셀렉트 스토어로 레오제이의 팝업을 열었다. 레오제이도 레페리 소속 크리에이터다. 이곳에는 3주 동안 약 4만6400명이 다녀갔다. 하루 평균 매출의 약 30%는 외국인이 차지했다.

민스코의 '셀렉트 스토어' 방문객들이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사진=오진주 기자

MCN 기업은 유튜버나 틱톡커 등 개인 인터넷 방송인과 크리에이터가 소속된 회사를 뜻한다. 동영상 플랫폼이 인기를 끌면서 2010년대 미국에서 MCN 기업이 처음으로 등장했다. 레페리는 국내 1세대 MCN 기업이다. 현재 800여명의 크리에이터를 보유하고 있고, 지금까지 1500여명을 배출했다.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 따르면 지난 2023년 기준 글로벌 MCN 시장 규모는 2454억1000만달러(355조6200억원)로 추정된다. MCN 기업을 포함한 국내 크리에이터 미디어 산업 매출은 2023년 5조3000억원을 넘기기도 했다.

과거 ‘인플루언서들의 기획사’ 정도로 여겨졌던 레페리가 셀렉트 스토어를 통해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이어지는 옴니채널을 구축하려는 것도 이 같은 성장 가능성 때문이다. 제조ㆍ브랜드사와 협력해 제품을 선정하고, 소비자에게 제품을 소개하고, 해외 시장에 제품을 선보일 수 있도록 지원하는 ‘뷰티테일(뷰티+리테일)’ 생태계를 구축하겠단 목표다.

레페리는 온라인에서 성공한 K-뷰티의 힘이 오프라인으로 넘어가 규모의 경제를 이룰 수 있다고 본다. 이를 위해 지난 2023년 인테리어 기업인 ‘알렉스 디자인’을 인수했다. 알렉스 디자인은 뷰티 브랜드 라카 사옥 리모델링 외에도 티르티르와 딘토 등의 팝업 스토어를 수주하며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다.

레페리를 창업한 최인석 의장은 “더현대서울에서 셀렉 스토어가 열리는 12일 동안 K-팝 스타들은 해외에서 25건의 콘서트를 연다”며 “K-팝 스타가 음원으로만 성공한 건 아니다. 뷰티도 경험을 혁신하면 충분히 오프라인 시장에서 힘을 보여줄 수 있다”고 말했다.

민스코의 ‘셀렉트 스토어’ 방문객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오진주 기자

특히 레페리는 과거 뷰티 대기업과 유통사들이 우후죽순으로 신제품을 진열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팬덤을 보유한 크리에이터가 선정한 제품을 전면에 내세운다. 오래된 제품이더라도 크리에이터가 자신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제품을 소개한다.

민스코 셀렉트 스토어에도 치열한 접전 끝에 민스코가 고른 29개의 브랜드가 모였다. 최 의장은 “일부 K-뷰티 브랜드는 아직도 신제품을 계속 내고 홍보하는 50년 전 방법을 반복하고 있다”며 “고객과 소통하고 판매하는 방식이 다른 크리에이터들이 이 과정을 혁신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오진주 기자 ohpearl@


#Beauty influencer Leo J is the first male beauty mega-creator in Korea, with 1.4 million YouTube subscribers. He is so influential that actress Han Ye-seul reached out to collaborate with him, earning him the title of “celebrity among celebrities.” In the past, large corporations‘ cosmetics advertisements were dominated by famous female celebrities. Products promoted by beautiful actresses often became bestsellers, generating hundreds of millions of dollars in sales.

However, the situation has reversed now that the world is captivated by K-beaut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eople worldwide discovered K-beauty through social media platforms like YouTube and TikTok, with beauty influencers at the forefront. These influencers can generate billions of dollars in sales from a single broadcast, moving beyond “ditto” consumption to become central figures in the “creanomics” (creator economics).

From now until the 26th, a pop-up “Select Store” by beauty influencer Minsco will be held at The Hyundai Seoul in Yeouido. Minsco is affiliated with the multi-channel network (MCN) company Repère and has 810,000 subscribers and followers. Previously, Repère opened its first Select Store pop-up featuring Leo J in Seongsu-dong, Seoul, last October. Over three weeks, approximately 46,400 people visited, with about 30% of daily sales coming from foreigners.

An MCN company refers to a firm where YouTubers, TikTokers, and other individual internet broadcasters and creators are affiliated. These companies first emerged in the U.S. in the 2010s as video platforms gained popularity. Repère is one of Korea’s first-generation MCN companies, currently hosting over 800 creators and having produced over 1,500 to date.

According to the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 the global MCN market size was estimated at $24.541 billion (approximately 35.562 trillion KRW) as of 2023. The revenue of Korea‘s creator media industry, including MCN companies, exceeded 5.3 trillion KRW in 2023.

Repère, once seen as a talent agency for influencers, aims to build an omnichannel from online to offline through its Select Stores due to this growth potential. By collaborating with manufacturers and brands to select products, introduce them to consumers, and support their entry into foreign markets, Repère aims to establish a “beauty retail” ecosystem.

Repère believes that the success of K-beauty online can translate into offline economies of scale. To achieve this, they acquired the interior design company Alex Design in 2023. Alex Design has expanded its portfolio by remodeling the Laka beauty brand headquarters and securing pop-up store projects for brands like Tirtir and Dinto.

Choi In-seok, the chairman of Repère, noted, “During the 12 days the Select Store is open at The Hyundai Seoul, K-pop stars will hold 25 concerts abroad.” He emphasized, “K-pop stars have not only succeeded with music; they can also show strength in the offline beauty market if they innovate experiences.”

Repère differs from traditional beauty companies and distributors by featuring products selected by creators with fan bases rather than simply displaying new products. Even older products can be highlighted if a creator introduces them based on trust.

The Minsco Select Store features 29 brands carefully chosen by Minsco after intense competition. Chairman Choi stated, “Some K-beauty brands still use the 50-year-old method of continuously launching and promoting new products.” He believes that creators can innovate this process by communicating with customers and selling in different ways.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생활경제부
오진주 기자
ohpearl@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