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 전후 3일간 8개 실무반 구성
헌재ㆍ광화문 인근 등 1357명 투입
선고 당일 안국역 폐쇄, 버스 우회
[대한경제=이승윤 기자]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탄핵 찬성ㆍ반대 세력의 대규모 충돌 우려가 높아지자 서울시가 종합적인 안전관리 대책을 마련해 총력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 |
종로구 재동 헌법재판소 앞/ 사진: 대한경제 DB |
시는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 전날부터 선고 당일, 다음날까지 3일간 8개 실무반으로 구성된 ‘시민안전대책본부’를 비상 가동한다고 17일 밝혔다. 본부장은 김성보 행정2부시장이 맡는다.
우선 주요 역사와 인파 밀집이 예상되는 지역에는 시와 소방재난본부ㆍ교통공사 등에서 하루 최대 1357명에 달하는 현장대응인력을 투입한다. 헌법재판소 인근 안국역을 비롯해 광화문역과 시청역, 한강진역, 여의도역이 중점관리 대상이다.
시 직원들은 주요 지하철역 출입구에 인파가 밀집되지 않도록 통행을 유도하고, 인근 이동형ㆍ개방형 화장실 등을 안내할 예정이다. 현장 상황을 모니터링할 인원도 별도로 편성해 집회 상황을 현장에서 살피면서 위험ㆍ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경찰ㆍ소방과 협조해 신속하게 조치할 계획이다.
시 재난안전상황실의 상황 관리도 강화된다. 상황실과 연결된 교통ㆍ방범용 CCTV를 활용해 주요 집회 장소의 인파 밀집도를 모니터링하고, 유관기관에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등 협력체계를 가동해 사고를 막을 방침이다. 상황에 따라 재난안전현장상황실(재난버스)도 현장에 배치해 대비ㆍ대응 태세를 강화한다.
특히 시내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 운행 조치도 추진된다. 광화문 교차로, 세종대로 사거리, 안국역, 여의대로, 한남동 등을 지나는 시내버스는 임시 우회하거나 무정차로 운행한다.
지하철은 실시간 혼잡 상황에 따라 임시열차를 편성하고 전동차도 추가 투입한다. 무정차 통과와 출입구 폐쇄 등의 조치도 탄력적으로 시행한다. 이를 위해 광화문역사 안에 ‘현장지휘소’를 설치하고 관계기관이 합동으로 상황을 관리할 예정이다.
헌재와 가까운 지하철 3호선 안국역은 인파 밀집에 따라 안전사고 우려가 큰 만큼 탄핵심판 선고 당일에는 하루 종일 폐쇄된다. 대통령 관저에서 가까운 6호선 한강진역은 현장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폐쇄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역사 내 안전관리도 강화된다. 종각역, 시청역, 종로3가역 등 18개 역사에는 평소보다 332명 많은 436명의 안전관리 인력이 배치된다.
주요 집회 장소에는 이동형 화장실이 5개동 설치된다. 민간 개방화장실과 이동형 화장실 위치는 ‘스마트서울맵’과 네이버ㆍ카카오 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릉이와 공유 개인형 이동장치(PM), 가로변 쓰레기통도 옮긴다. 집회 지역의 위험 요인을 차단하기 위해서다. 집회 참여자들이 통신 서비스를 원활히 이용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3사에 이동기지국 증설도 요청할 계획이다.
집회가 예정된 종로구와 중구, 용산구, 영등포구에서도 자치구 차원의 안전관리 대책이 추진된다.
아울러 재난응급의료 대책도 가동된다. 안국역과 청계광장, 한남동, 여의대로에는 각각 1곳씩 모두 4곳의 현장진료소를 설치해 의사를 포함한 의료진과 구급차를 배치한다. 재난의료 대응체계 유지를 위해 ‘서울시 재난응급의료 상황실’도 운영된다.
소방재난본부와 관할 소방서에는 각종 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특별상황실’을 설치ㆍ운영한다. 안국동과 광화문, 한남동, 여의도 등 주요 집회 장소 4곳에는 펌뷸런스와 구급차 등 84대의 소방 차량과 소방대원 513명이 투입된다.
집회 인원 증가와 119 신고 폭주 등에 대비해 신속대응팀, 구조ㆍ구급지원반, 상황관리반을 별도로 구성하며, 소방 차량 24대와 소방대원 96명 등 예비 소방력도 추가로 배치된다.
김 부시장은 “인파 안전관리부터 교통대책까지 가용할 수 있는 최대한의 인력과 자원을 동원해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지키겠다”며 “선고 당일 안국역 폐쇄에 따른 다소의 불편이 있겠으나,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 조치로 양해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이승윤 기자 leesy@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